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 초록
1. 들어가며
2. 동아시아 언어장과 장소성
3. 메드허스트의 동아시아 이중어사전의 연쇄
4.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增訂注解國音常用字彙』에 수록된 異讀字의 類型에 대한 小考 — 고대중국어 變調構詞중 入聲字音義關係와의 비교를 위주로
중국문화연구
2021 .08
근대시기에 성립한 윤리학 개념과 한국유학 이해의 방향성
동서인문학
2016 .12
《字彙》部首 考察
중국어문논역총간
2017 .01
『朝鮮の生活と文化』(1924) 수록 조선 주요 민속식물 연구
장서각
2020 .04
중국 자전의 수용 양상과 그 의미
동방한문학
2016 .01
韓國式 漢字字典 『字彙集』과 『音韻反切彙編』
한국어사 연구
2019 .03
滿漢合璧 成語 辭典 『淸文典要(大全)』 硏究
민족문화연구
2024 .05
국어사전에 대한 문법교육적 가능성 탐색
우리말글
2023 .03
『土名對照鮮滿植物字彙』(1932)의 식물생활민속지적 의의와 『鄕藥集成方』(1433) 초부 상품과의 관계성 고찰
동아시아고대학
2019 .01
신라 ‘景哀王의 죽음’과 견훤・왕건의 攻防 : 왕건・견훤의 서한을 중심으로
동아인문학
2016 .12
1915~1921년도 구황실(李王家) 재정의 구성과 그 성격에 관한 고찰
장서각
2016 .04
한국어 표현 사전 편찬의 현황과 전망 : 정보 항목별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사전학
2015 .05
송완식의 『최신 백과 신사전』(1927)
한국사전학
2015 .05
『朝鮮偉國字彙』의 서지와 자료적 성격
국어사연구
2017 .01
『朝鮮偉國字彙』의 국어사 자료로서의 가치
코기토
2015 .02
국어사전 수정 작업에 대한 검토
한국어학
2015 .05
남북한 국어사전의 흉내말 비교 연구
한말연구
2021 .01
『漢鮮文新玉篇』簡介
중어중문학
2015 .04
국어 사전의 한자 어명(魚名) 오류 연구
어문론총
2020 .01
국어사전의 예문과 인터넷 기사를 통한 ‘환향녀’, ‘위안부’, ‘양공주’에 대한 인식 연구
사회언어학
2023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