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윤영도 (성공회대학교)
저널정보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코기토 코기토 제80호
발행연도
2016.8
수록면
7 - 35 (29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논문에서는 근대 초기 동아시아 지역에 나타났던 이중어사전의 연쇄를 하나의 장, 즉 중층적인 역관계와 수많은 연쇄들이 끊임없이 작동하고 있는 초국적 언어장(transnational lingual field) 속에 놓고 바라보고자 한다. 근대화 과정 혹은 그 이전부터 지역적(regional) 차원에서 활발히 이루어졌던 다양한 ‘언어횡단적 실천’을 이처럼 초국적 언어장이라는 시각 속에서 바라보는 것은 일국중심주의적 이해의 한계를 벗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해주는 데 있어서 뿐만 아니라, 당시 글로컬 차원에서 작용하였던 수많은 복선들의 중층적 관계망들을 총체적으로 재조명하는 데 있어서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틀 속에서 19세기 동아시아에서 나타났던 이중어사전 편찬 붐을 이끌었던 대표적인 인물인 메드허스트(Walter Henry Medhurst, 중국명 麥都思)의 이중어사전들 가운데 비교적 초창기의 성과인 1830년대의 이중어사전들을 초국적 언어장 속에 정위시켜 보았다. 특히 동아시아 언어장 속에서 영어와 동아시아 언어들 사이의 이중어사전, 내지는 다중어(multi-lingual)사전의 선구적 성과라 할 수 있는, 영일․일영 이중어 어휘집 An English and Japanese, and Japanese and English vocabulary(일명 『英和和英語彙集』, 1830), 복건방언-영어 이중어사전 A dictionary of the Hok-këèn dialect of the Chinese language(일명 『福建方言字典』, 1832), 그리고 중․한․일․영 다중어 어휘집 Translation of a comparative vocabulary of the Chinese, Corean and Japanese languages(『朝鮮偉國字彙』, 1835) 등의 세 권을 중심으로 당시의 시공간적 배경 속에서 이들 이중어사전의 연쇄가 지니고 있는 맥락과 의의를 고찰해보았다.

목차

국문 초록
1. 들어가며
2. 동아시아 언어장과 장소성
3. 메드허스트의 동아시아 이중어사전의 연쇄
4.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7-001-0011530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