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들어가며
2. 이론적 논의
3. 연구 문제와 연구 방법
4. 분석 결과
5.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현대 한국에서의 ‘다문화’ 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다문화와 인간
2018 .12
Analysis of Multiculturalism and Policy Gaps in Korea: Is There a Third Way?
글로벌문화연구
2020 .09
〈비정상회담〉의 다문화 이해 양상 분석
다문화콘텐츠연구
2015 .08
다문화주의에서의 도덕과 정치의 변증법 -당위와 존재 사이에서의 갈등과 대립을 중심으로-
다문화콘텐츠연구
2019 .08
다문화주의에 대한 이데올로기적 검토
다문화사회연구
2018 .02
한국 다문화정책의 방향성 재고(再考): 다문화수용성과 제노포비아(xenophobia)
다문화콘텐츠연구
2021 .04
한국 다문화 TV 프로그램에서의 이주민·외국인 재현 : 장르별 차이와 시기별 변화
한국언론학보
2018 .06
공익광고가 재현하는 한국식 ‘다문화주의’에 대한 비판적 독해
디아스포라연구
2015 .12
JTBC와 미디어 공론장, 가능성과 한계 모색
한국방송학보
2017 .07
다문화주의의 현실적 한계에 대한 대안으로서의 상호문화주의 - 다문화 시대의 새로운 도덕 원리 탐색 -
윤리교육연구
2022 .10
탈다문화주의 담론으로 살펴본 21세기 유럽 다문화사회의 동향: 독일의 사례를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2020 .01
JTBC <뜨거운 씽어즈>_우리 더 이상 뜨겁지 않으면 어떡하지?
신문과방송
2022 .08
다문화 담론 지형의 변화와 언론의 재현 :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의 다문화 관련 기사분석을 중심으로
다문화사회연구
2018 .02
JTBC 팩트체크 이렇게 하고 있다
관훈저널
2019 .09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문화적응 현황 및 학습자 요구 분석
한국언어문화학
2017 .01
An Analysis on the Emergence of Anti-Multiculturalism : A Case Study of Online and Offline Mobilization
GRI 연구논총
2017 .08
텔레비전 예능 프로그램 속의 다문화주의 : JTBC <비정상회담>의 ‘기미가요’ 논란을 통해 본 다문화주의 담론의 취약성 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2016 .06
현대시조의 다문화 수용 양상 고찰 : 2015년 창작 작품을 중심으로
다문화콘텐츠연구
2016 .04
관계적 다문화주의의 이론과 실제
미술과 교육
2020 .01
한국사회 내에서의 사회권 발전에 있어서의 다문화주의 - 한국의 여성결혼이민자 대상으로 한 다문화 관련 법안 중심으로
지방자치법연구
2017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