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만공의 정신사와 총독부에서의 ‘禪機 發露’(1937) 사건
[TCHCCOS] 향토서울
2015 .10
<감자>에 나타난 정신사건과 물리사건의 인과관계
현대문학이론연구
2019 .01
[기획의 말] 시적 사건은 어디에서 기인하는가? ― 시, 사건, (현)장
청색종이
2022 .03
거대 사건 이론에 기반한 ‘V上N’ 구문 연구
중국언어연구
2022 .08
사건 이후의 사건 – 촛불이 열어 놓은 시적 경로들
문학들
2018 .02
거대사건(Macro Event) 이론을 통한 현대중국어 습관문 연구
중국언어연구
2020 .01
사건과 어긋남, 혹은 시는 사건과 어떻게 관계하는가? · 1
문학들
2017 .12
사건과 어긋남, 혹은 시는 사건과 어떻게 관계하는가?·2
문학들
2018 .02
진행 중인 역사적 사건이 소설에 도입되는 방식들 : 세월호 사건 모티프를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2017 .06
사건의 의미와 자기소개서
현대문학이론연구
2016 .01
칸트의 인과성 개념에 대한 비판적 고찰
가톨릭철학
2020 .01
알랭 바디우의 사건의 철학을 통한 안병무의 사건론의 재발견
대학과 선교
2023 .03
바디우의 사건 개념에서 ‘결정불가능성’의 의미: ‘68혁명’과 이승우의 『사랑의 생애』를 예로
현대유럽철학연구
2023 .01
중국어 결과보어 구문과 한국어 번역문 사건 구조에 대한 인지적 분석
외국학연구
2020 .01
청소년 독자의 읽기 활동체제(activity system) 분석
독서연구
2019 .01
현대중국어의 복수사건과 허사 의미
중국어문논역총간
2019 .01
평가 상황에서 문학 작품 읽기에 대하여 -문학에게 과학처럼 말 걸기
한국언어문학
2015 .01
읽기 목적에 따른 독자의 읽기 과정 특성 연구
우리어문연구
2024 .05
한국어 복합 이동동사 [V1+아/어+V2{가다/오다}]의 논항 구조와 사건 구조 합성 유형
한글
2015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