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한글 요약]
Ⅰ. 들어가며
Ⅱ. 랑시에르의 비판적 예술의 이론적 구조
Ⅲ. 랑시에르의 비판적 예술과 현대미술
Ⅳ.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자기 해방으로서의 정치와 미학 -랑시에르의 정치와 미학의 동일성-
인문과학
2017 .01
벗어남의 예술로서의 영화: 알랭 바디우의 영화 사유
철학연구
2022 .03
감각작용의 정치성: 랑시에르 미학에서의 민주주의와 평등의 기입
비평과이론
2021 .01
공동체 예술과 불화의 미학
공동체문화와 민속 연구
2021 .03
민주주의에 있어서 ‘비판’과 ‘수행성’의 연관에 관한 고찰: 무페, 랑시에르, 호네트를 중심으로
철학논집
2019 .01
랑시에르의 정치와 미학을 통한 『소년이 온다』와 『너무 시끄러운 고독』분석
동서비교문학저널
2023 .06
자주적 의식과 과감한 참여로의 지적인 촉구 : 자크 랑시에르 정치철학의 가능성과 한계
철학연구
2015 .12
68년 5월이 바디우에게 미친 영향 : ‘비제도적 정치’와 파괴(destruction) 개념을 중심으로
철학연구
2018 .09
대중 예술의 가치 옹호
인문논총
2016 .01
마르크스주의적 ‘구조’ 개념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랑시에르 대 바스카
인문학연구
2020 .01
자크 랑시에르의 『프롤레타리아의 밤』에 대한 서평
인문학연구
2021 .06
예술교양의 형성과 실천에 대한 비판적 이해
현대유럽철학연구
2022 .04
들뢰즈의 미학은 '어떤 의미에서' 존재하는가? - 랑시에르의 「들뢰즈의 미학은 존재하는가?」에 대한 반론
美學(미학)
2017 .01
듀이와 삶의 예술
철학연구
2021 .05
예술 정의의 필요성에 대한 회의주의: 비판과 제안
美學(미학)
2022 .09
오래된 미래로서의 현대 예술 : 빙켈만론을 통해 본 페이터의 『르네상스』와 랑씨에르의 『지각』
19세기 영어권 문학
2016 .02
장용학의 문학, 진리가 맺히는 단독적 사유의 자리
한국현대문학연구
2021 .08
알랭 바디우의 진리와 주체 : 라깡을 넘어서
현상학과 현대철학
2019 .03
형식주의와 심미적 예술론
인문학연구
2015 .12
예술의 사물화 비판과 예술의 공공성 - 아도르노와 듀이의 가상적 대화 -
동서철학연구
2016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