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논문요지
Ⅰ. 서론
Ⅱ. 표현의 자유의 한계
Ⅲ. 표현의 자유의 보호영역 확정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울산지방법원 2008. 6. 10. 선고 2008고정204 판결
[1] 회사 소속 근로자들 중 1인이 고용보장이라는 목적 달성을 위하여 회사 앞에서 한 소위 `1인 시위’는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에서 신고 대상으로 규정하는 `시위’에 해당하지 않으며, 위 신고 대상인 시위는 `불특정 다수인의 의견에 영향을 주거나 제압을 가하는 행위’이어야 하는데 위 근로자 1인이 자신의 의사를 전달하고자 하는 상대방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8. 2. 28. 선고 2005다28365 판결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0. 10. 23. 선고 90다카8845 판결
가. 저작권법의 보호대상인 저작물이라 함은 사상 또는 감정을 창작적으로 표현한 것으로서 문학, 학술 또는 예술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면 되고 윤리성 여하는 문제되지 아니하므로 설사 그 내용중에 부도덕하거나 위법한 부분이 포함되어 있다 하더라도 저작권법상 저작물로 보호된다 할 것이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8. 3. 13. 선고 2006도3558 판결
[1] `음란’이라는 개념은 사회와 시대적 변화에 따라 변동하는 상대적이고도 유동적인 것이고, 그 시대에 있어서 사회의 풍속, 윤리, 종교 등과도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추상적인 것이므로, 구체적인 판단에 있어서는 사회통념상 일반 보통인의 정서를 그 판단의 기준으로 삼을 수밖에 없다고 할지라도, 이는 일정한 가치판단에 기초하여 정립할 수 있는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7. 8. 22. 선고 97도937 판결
[1] 형법 제243조에 규정된 `음란한 도화`라 함은 일반 보통인의 성욕을 자극하여 성적 흥분을 유발하고 정상적인 성적 수치심을 해하여 성적 도의관념에 반하는 것을 가리킨다고 할 것이고, 이는 당해 도화의 성에 관한 노골적이고 상세한 표현의 정도와 그 수법, 당해 도화의 구성 또는 예술성, 사상성 등에 의한 성적 자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5. 6. 11. 선고 2011도10872 판결
저작권법은 제2조 제1호에서 저작물을 `인간의 사상 또는 감정을 표현한 창작물’이라고 정의하는 한편, 제7조에서 보호받지 못하는 저작물로서 헌법·법률·조약·명령·조례 및 규칙(제1호),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고시·공고·훈령 그 밖에 이와 유사한 것(제2호), 법원의 판결·결정·명령 및 심판이나 행정심판절차 그 밖에 이와 유사한 절차에 의한 의결·결정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2. 10. 25. 선고 2011도16580 판결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4. 9. 4. 선고 2012도13718 판결
[1] 우리 헌법이 종교의 자유를 보장함으로써 보호하고자 하는 것은 종교 자체나 종교가 신봉하는 신앙의 대상이 아니라, 종교를 신봉하는 국민, 즉 신앙인이고, 종교에 대한 비판은 성질상 어느 정도의 편견과 자극적인 표현을 수반하게 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타 종교의 신앙의 대상에 대한 모욕이 곧바로 그 신앙의 대상을 신봉하는 종교단체나 신도들에 대한 명예훼손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5. 6. 16. 선고 94도1758 판결
형법 제243조의 음화등의반포등죄 및 제244조의 음화등의제조등죄에 규정한 음란한 도화라 함은 일반 보통인의 성욕을 자극하여 성적 흥분을 유발하고 정상적인 성적 수치심을 해하여 성적 도의관념에 반하는 것을 가리키고, 도화의 음란성의 판단에 있어서는 당해 도화의 성에 관한 노골적이고 상세한 표현의 정도와 그 수법, 당해 도화의 구성 또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5. 6. 16. 선고 94도2413 판결
가. 형법 제243조의 음화등의반포등죄 및 형법 제244조의 음화등의제조등죄에 규정한 음란한 문서라 함은 일반 보통인의 성욕을 자극하여 성적 흥분을 유발하고 정상적인 성적 수치심을 해하여 성적 도의관념에 반하는 것을 가리키고, 문서의 음란성의 판단에 있어서는 당해 문서의 성에 관한 노골적이고 상세한 묘사 서술의 정도와 그 수법, 묘사 서
자세히 보기대법원 1987. 12. 22. 선고 87도2331 판결
형법 제243조의 음화 등의 반포 등 죄에 규정한 음란한 물건이라 함은 성욕을 자극하거나 흥분 또는 만족케 하는 물품으로서 일반인의 정상적인 성적 수치심을 해치고 선량한 성적 도의관념에 반하는 것을 가리킨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4. 6. 12. 선고 2013도6345 판결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0. 10. 27. 선고 98도679 판결
[1] 형법 제243조 및 제244조에서 말하는 `음란`이라 함은 정상적인 성적 수치심과 선량한 성적 도의관념을 현저히 침해하기에 적합한 것을 가리킨다 할 것이고, 이를 판단함에 있어서는 그 시대의 건전한 사회통념에 따라 객관적으로 판단하되 그 사회의 평균인의 입장에서 문서 전체를 대상으로 하여 규범적으로 평가하여야 할 것이며, 문학성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미국 수정헌법 제1조 표현의 자유의 적용범위에 관한 고찰 - State Action이론과 공적 포럼이론에 관한 2019년 Halleck 판결을 중심으로 -
공법학연구
2019 .08
디지털 시대 헌법상 표현의 자유 개념
미디어와 인격권
2018 .12
Freedom of Expression under the Australian Constitution
헌법재판연구
2020 .01
표현의 자유의 보호범위와 차별적 표현의 규제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공법학연구
2020 .05
한국 言論自由의 헌법적 위상에 대한 진단
언론과법
2015 .12
표현의 자유에 대한 교육과정 내용의 개선 방향
새국어교육
2021 .01
저작권과 표현의 자유
산업재산권
2021 .10
가짜뉴스의 개념과 헌법적 한계에 관한 고찰 - 표현의 자유의 보호영역을 중심으로
공법학연구
2020 .02
미국헌법상 법인(法人)의 표현의 자유에 관한 소고(小考)
아주법학
2017 .01
거주·이전의 자유의 보호영역에 대한 소고
저스티스
2019 .08
독일연방헌법재판소 판례 분석을 통해 본 정치인에 대한 모욕표현 및 표현의 자유 한계에 관한 논의
미디어와 인격권
2023 .12
디지털 시대 헌법상 표현의 자유 개념 변화를 위한 시론 : 혐오표현 문제를 중심으로
언론과법
2019 .04
‘익명표현의 자유’의 보호 - 미국 연방대법원 판결을 중심으로 -
외법논집
2021 .01
예술의 자유 보호영역 확정을 위한 ‘예술’의 개념
헌법재판연구
2021 .12
익명표현의 자유에 대한 헌법적 검토
법학논집
2016 .06
미국수정헌법 제 1조와 표현의 자유 판결
[KIIP] 한국지식재산연구원 도서DB
2015 .12
‘표현의 자유’ 및 ‘인격권 보호’에 관한 최근 연구동향 - 전문학술지 및 학위논문 분석을 중심으로 -
미디어와 인격권
2018 .12
교원의 표현의 자유와 품위 유지 의무 - 부산 S 초등 교사의 징계 사건을 중심으로 -
법교육연구
2021 .12
헌법 제21조 제4항은 살았는가, 죽었는가?
세계헌법연구
2022 .04
표현의 자유와 인간의 존엄성에 관한 고찰 - 인격 발현적 가치와 인격 대응적 가치를 중심으로 -
공법학연구
2019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