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들어가는 말
Ⅱ. 사례로 본 한국 중년들의 문제
Ⅲ. 목회상담학과 공공신학의 대화
Ⅳ. 공공신학적 주제를 반영한 중년기의 목회상담 전략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목회신학이란 무엇인가 : 실천신학과 공공신학과의 관계 안에서
한국기독교신학논총
2019 .04
보이는 것에 눈먼 상담사: 목회상담 방법론의 시도
목회와 상담
2015 .01
목회상담, 그 개혁의 목소리: Bonnie Miller-McLemore의 "살아있는 인간망"으로 성찰한 한국목회상담의 역할
목회와 상담
2018 .01
돌봄 : 목회 돌봄에 근거한 목회상담의 미래 전략
한국기독교신학논총
2020 .04
한국적 공공 신학에 관한 연구 : 민중 신학에서 공공 신학으로
신학과 사회
2024 .08
4차 산업혁명의 기회와 도전 – 목회신학적 관점에서
장신논단
2021 .03
목회(기독교) 상담사의 협동조합 모델 실천 경험에 대한 목회신학적 성찰
신학사상
2023 .06
통일을 위한 목회신학적 실천과제에 대한 연구
목회와 상담
2019 .01
목회상담의 공적 역할에 대한 모색 : 사회적 협동조합 모델을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신학논총
2018 .04
Pastoral Theology in Response to the Problem of Suffering and Pain
한국기독교신학논총
2018 .07
목회상담의 정체성과 방법론에 대한 소고
신학논단
2015 .09
목회상담에서 상관관계적 방법에 대한 비판적 재고: 칼 바르트(Karl Barth) 신학의 관점에서
목회와 상담
2016 .01
Trauma and Pastoral Piety: Conceptualization of a Framework for Ecclesial Spirituality
한국기독교신학논총
2019 .07
목회상담학의 최근 연구동향: 「목회와 상담」 게재논문 분석(2001~2016)
목회와 상담
2017 .01
학교 폭력 피해 아동을 위한 목회적 돌봄 : 탈 근대적 여성주의 목회 신학 방법론의 재구성 및 신학적 성찰 중심으로
연세상담코칭연구
2016 .09
‘하나님의 돌봄’을 수행하는 사역으로서의 목회상담
신학과세계
2021 .12
Narrative Therapy for Pastoral Theology, Care, and Counseling
한국기독교신학논총
2017 .07
한국의 교회 내 목회상담 현장에서 나타나는 경계문제와 접근 방안에 관한 연구
목회와 상담
2016 .01
탈근대주의의 목회상담과 상호적 관계 지향에 관한 연구
목회와 상담
2020 .01
미미한 하나님, 아름다운 인간 ― 류혜란 시에서 길어 올린 고통의 목회신학
신학사상
2022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