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DBpia Top 1%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동아시아의 ‘근대’와 메이지유신의 위치 : 『메이지유신과 사대부적 정치문화』 (박훈,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9)
역사비평
2020 .05
[메이지유신 발발 150주년] 메이지유신과 동아시아의 체제 변혁 : ‘뒤틀린’ 역사 속 ‘가지 않은 길’ 찾기
지식의 지평
2018 .06
조선 말기 유신 개념의 역사적 이해 — 고종⋅순종 시기 승정원일기 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인문논총
2018 .01
‘제국 일본’의 제신, 메이지천황의 탄생
동양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9 .04
플레이, 젠더! : 김세희, 『항구의 사랑』(민음사, 2019)
자음과모음
2019 .12
언어로 자신을 파서 전(全)인칭의 세계로 ― 문정희, 『오늘은 좀 추운 사랑도 좋아』(민음사, 2022)
청색종이
2022 .12
사랑의 족쇄 ― 조혜은, 『눈 내리는 체육관』(민음사, 2022)
청색종이
2022 .12
[생태소설 읽기] 생존 위기에 관한 반성문 -김기창 소설집 《기후변화 시대의 사랑》(민음사, 2021)
수필미학
2021 .09
애쓰는 나날 : 김세희, 『가만한 나날』(민음사, 2019)
자음과모음
2019 .06
감각적인 언어는 어떻게 탄생하는가 : 배수연의 시집 『조이와의 키스』(민음사, 2018)를 읽고
한국문학과 예술
2018 .06
‘없던 셈’ 치지 않고 살아가기 위하여 : 조예은, 『스노볼 드라이브』(민음사, 2021)
자음과모음
2021 .06
감수성에서 정치성으로 : 조남주, 『사하맨션』(민음사, 2019)
자음과모음
2019 .09
[일본근현대] 역사와 기억 사이에서, 전쟁과 평화 사이에서
역사학보
2020 .09
유신 진화론에 대한 신학적 비평
신학정론
2015 .11
냉전기 일본의 ‘메이지 vs 전후’ - 1960년대 경제내셔널리즘의 대두 -
日本思想
2019 .01
1969년의 3 · 1운동 - 고바야시 마사루 「만세 메이지 52년」시론 -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19 .04
약속 이행을 촉구받는 일본 메이지산업유산 : 침략전쟁과 강제동원의 그림자
동북아역사리포트
2021 .12
유신 말기의 나비 효과
인물과사상
2016 .08
블랙리스트와 유신의 종말
문화과학
2017 .03
메이지 천황의 ‘신성’함의 기원들 ― 메이지헌법 신성불가침 조항의 의미에 대하여 ―
일본학보
2021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