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나에겐 나
너에겐 나
나에겐 그(들)
그(들)에겐 나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플레이, 젠더! : 김세희, 『항구의 사랑』(민음사, 2019)
자음과모음
2019 .12
[생태소설 읽기] 생존 위기에 관한 반성문 -김기창 소설집 《기후변화 시대의 사랑》(민음사, 2021)
수필미학
2021 .09
감각적인 언어는 어떻게 탄생하는가 : 배수연의 시집 『조이와의 키스』(민음사, 2018)를 읽고
한국문학과 예술
2018 .06
감수성에서 정치성으로 : 조남주, 『사하맨션』(민음사, 2019)
자음과모음
2019 .09
사랑의 족쇄 ― 조혜은, 『눈 내리는 체육관』(민음사, 2022)
청색종이
2022 .12
애쓰는 나날 : 김세희, 『가만한 나날』(민음사, 2019)
자음과모음
2019 .06
‘없던 셈’ 치지 않고 살아가기 위하여 : 조예은, 『스노볼 드라이브』(민음사, 2021)
자음과모음
2021 .06
편지를 통해 본 해방정국의 희망과 절망 : 『편지로 읽는 해방과 점령』(정용욱, 민음사, 2021)
역사비평
2021 .08
나에게도 사랑하는 작가들이 있다 : 『쓰고 싸우고 살아남다』장영은 지음 / 민음사 / 2020
황해문화
2020 .06
쓰기 전으로 돌아갈 수 없다 -장영은, 『쓰고 싸우고 살아남다』, 민음사, 2020; 정희진, 『나쁜 사람에게 지지 않으려고 쓴다』·『나를 알기 위해서 쓴다』, 교양인, 2020
여성문학연구
2020 .01
귄터 그라스의 뺷양파 껍질을 벗기며뺸(장희창, 안장혁 옮김. 민음사 2015)
인문과학연구
2016 .01
한정숙, 『시베리아 유형의 역사: 격리 형벌, 계몽, 자유』 (민음사, 2017)
서양사론
2019 .01
‘물의 호흡’으로 빛과 어둠의 리듬을 따라 읽는 시 : 이제니, 『왜냐하면 우리는 우리를 모르고』(문학과지성사, 2014) · 기혁, 『모스크바예술극장의 기립 박수』(민음사, 2014)
인간연구
2015 .07
역사적 허준과의 만남 - 김호, 『허준 평전 - 네 얼굴의 유의』(서울, 민음사, 2024)
역사학보
2024 .12
메이지의 바깥에서 보는 메이지유신 : <메이지유신은 어떻게 가능했는가> (박훈, 민음사, 2014)
역사비평
2016 .02
페미니즘의 문턱에서[서평] 권보드래 외 12인 공저⋅오혜진 기획(2018), 문학을 부수는 문학들, 민음사, 428쪽.
인문논총
2018 .01
『바다에서 본 역사: 개방, 경합, 공생 동아시아 700년의 문명 교류사』 : 하네다 마사시 엮음, 고지마 쓰요시 감수, 조영헌, 정순일 옮김, 서울: 민음사, 2018, 403쪽, 20,000원, ISBN: 978-89-374-3902-5
해항도시문화교섭학
2019 .04
공존에서 단절과 분리의 관계로 — 집단 감정의 이해와 다자관계, 그리고 현대 중동의 종파주의를 생각하며 [서평] 이은정(2019), 『오스만 제국 시대의 무슬림-기독교인 관계』, 민음사, 243쪽.
인문논총
2020 .01
서정주 시 정본 확정의 원칙과 과정
한국시학연구
2015 .08
뉴 노멀(New Normal) 시대와 문학의 변화 - ‘문예지’를 중심으로
어문론집
2020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