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정영주 (서울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언론법학회 언론과법 언론과 법 제14권 제3호
발행연도
2015.12
수록면
329 - 364 (36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연구는 판례분석을 통해 공영방송 관련 법제의 불명확성과 모호성이 현실의 분쟁 속에서 어떻게 구체화되는지 살펴보고, 공영방송의 개념과 범주를 재정립하는 데 정책적 함의를 찾고자 한 것이다. 판례 분석 결과 KBS와 EBS는 공영방송으로서 확고한 위상을 확보하고 있지만 KBS2TV가 갖는 모호성은 판례에서도 그대로 드러나 KBS1TV와 동일한 공영방송 사업자로 인식되기도 하고 별개의 사업자로 인식되기도 했다. MBC의 경우 판례에 따라 민간 지상파 방송사업자의 위상을 갖는가 하면 공ㆍ민영에 대한 언급 없이 방송사업자로서 공적 책임을 요구받기도 하고, 명확하게 공영방송사업자로 구분되기도 한다. SBS 역시 방송사업자로서 공적 책임을 요구받는가 하면, 사적 권리의 주체로 인정받는 것을 볼 수 있다. 공영방송과 민영방송을 구분하고 차별적 책무를 부여할 수 있는 원칙과 기준이 부재한 방송법의 흠결에도 불구하고 법원은 현실의 개념으로 공영방송을 인식하고 공영방송의 개념을 구성하는 공적 소유, 공적 재원, 공적 책무의 요소들과 관련해 주요한 기준들을 제시하고 있다. 판례 분석에서 드러난 정책적 함의를 반영하여 우리 사회가 수인가능한 공영방송의 개념과 범주, 공적 책무에 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1. 문제제기
2. 공영방송의 개념과 혼란
3. 공영방송 관련 현행 법 체계의 모호성
4. 공영방송의 개념과 범주에 대한 사법적 판단
5. 논의 : 공영방송 제도 정립을 위한 입법 과제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과 연관된 판례 (17)

  • 서울남부지방법원 2014. 1. 17. 선고 2012가합16200 판결

    자세히 보기
  • 서울고등법원 2011. 7. 20. 선고 2010나97688 판결

    [1] 종합유선방송사업자가 종합유선방송사업을 통해 가입자에게, 지상파방송사업자가 송신탑 등을 통해 공중에 송출하는 디지털 지상파방송의 방송신호를 종합유선방송사업자가 설치한 안테나 등으로 수신한 후 실시간으로 방송신호를 직접 또는 디지털 유선방송용 셋톱박스를 거쳐 가입자가 보유한 텔레비전에 재송신한 사안에서, 종합유선방송사업자가 동시재송신을

    자세히 보기
  • 서울고등법원 2011. 1. 14. 선고 2009누36318 판결

    자세히 보기
  • 대법원 2012. 2. 23. 선고 2011두5001 판결

    [1] 해임처분 무효확인 또는 취소소송 계속 중 임기가 만료되어 해임처분의 무효확인 또는 취소로 지위를 회복할 수는 없다고 할지라도, 그 무효확인 또는 취소로 해임처분일부터 임기만료일까지 기간에 대한 보수 지급을 구할 수 있는 경우에는 해임처분의 무효확인 또는 취소를 구할 법률상 이익이 있다. 해임권자와 보수지급의무자가 다른 경우에도 마찬가

    자세히 보기
  • 헌법재판소 2009. 10. 29. 선고 2008헌마454 전원재판부

    가. 학원의 교습시간을 제한하여 학생들의 수면시간 및 휴식시간을 확보하고, 학교교육을 정상화하며, 학부모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려는 이 사건 조례의 입법목적의 정당성 및 수단의 적합성이 인정되고, 원칙적으로 학원에서의 교습은 보장하면서 심야에 한하여 교습시간을 제한하면서 다른 사교육 유형은 제한하지 않으므로 청구인들의 기본권을 과도하게

    자세히 보기
  • 헌법재판소 2009. 10. 29. 선고 2008헌마635 전원재판부

    가. 학원의 교습시간을 제한하여 학생들의 수면시간 및 휴식시간을 확보하고, 학교교육을 정상화하며, 학부모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려는 이 사건 조례의 입법목적의 정당성 및 수단의 적합성이 인정되고, 원칙적으로 학원에서의 교습은 보장하면서 심야에 한하여 교습시간을 제한하면서 다른 사교육 유형은 제한하지 않으므로 청구인들의 기본권을 과도하게

    자세히 보기
  • 대법원 2008. 10. 23. 선고 2007두1798 판결

    자세히 보기
  • 서울남부지방법원 2014. 1. 23. 선고 2012가합3891 판결

    자세히 보기
  • 대법원 2010. 12. 23. 선고 2008두13101 판결

    [1] 국민의 정보공개청구권은 법률상 보호되는 구체적인 권리이므로, 공공기관에 대하여 정보의 공개를 청구하였다가 공개거부처분을 받은 청구인은 행정소송을 통하여 그 공개거부처분의 취소를 구할 법률상의 이익이 있고, 공개청구의 대상이 되는 정보가 이미 다른 사람에게 공개되어 널리 알려져 있다거나 인터넷 등을 통하여 공개되어 인터넷검색 등을 통하

    자세히 보기
  • 서울남부지방법원 2015. 2. 13. 선고 2014고단339 판결

    방송사업자인 甲 주식회사 대표이사인 피고인이, 甲 회사의 법인카드를 호텔숙박비 결제 등 개인적 용도에 사용하고, 감사원에서 감사대상기관인 방송문화진흥회(이하 `방문진’이라 한다)의 甲 회사 경영에 대한 관리 및 감독의 적정 여부를 감사하기 위해 필요한 자료의 제출을 요구받고도 이를 거부하였다고 하여 업무상배임 및 감사원법 위반으로 기소된 사안에서, 제반 사

    자세히 보기
  • 서울남부지방법원 2011. 4. 12.자 2011카합198 결정

    [1] 지상파방송사업자 甲 회사가 위성방송사업자 乙 회사와 방송재송신계약을 체결한 후 乙 회사의 사용료 미지급을 이유로 위 계약의 해지통보를 하였는데, 한편 甲 회사가 丙 회사와 재송신계약을 체결하여 사용료 지급시기를 유예해주기로 하자 乙 회사가 부속서의 최혜대우조항에 따라 자신의 사용료 지급의무 이행기도 같이 유예되었으므로 사용료 미지급을

    자세히 보기
  • 헌법재판소 2003. 12. 18. 선고 2002헌바49 전원재판부

    가.방송의 자유는 주관적 권리로서의 성격과 함께 자유로운 의견형성이나 여론형성을 위해 필수적인 기능을 행하는 객관적 규범질서로서 제도적 보장의 성격을 함께 가진다.

    자세히 보기
  • 헌법재판소 2013. 9. 26. 선고 2012헌마271 전원재판부

    가. 청구인은 공법상 재단법인인 방송문화진흥회가 최다출자자인 방송사업자로서 방송법 등 관련 규정에 의하여 공법상의 의무를 부담하고 있지만, 그 설립목적이 언론의 자유의 핵심 영역인 방송 사업이므로 이러한 업무 수행과 관련해서는 기본권 주체가 될 수 있고, 그 운영을 광고수익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만큼 이를 위해 사경제 주체로서 활동하는 경우에도 기

    자세히 보기
  • 서울남부지방법원 2014. 5. 27. 선고 2014고합9 판결

    자세히 보기
  • 서울고등법원 2008. 7. 2. 선고 2007누27013 판결

    자세히 보기
  • 대법원 2003. 11. 28. 선고 2003다43322 판결

    [1] 방송의 송신과 수신이 방송전파의 전달이라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실현되어 상호 불가분의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 하더라도 규범적 보호대상으로서의 방송의 송신과 수신은 구별되는 것이고, 민간지상파방송사업자는 관계 법령에 따라 특정 주파수를 할당받아 무선국 개설허가를 받은 후 방송송신에 필요한 시설 등을 유지·관리하고 방송을 위한 전파송신을

    자세히 보기
  • 서울중앙지방법원 2009. 12. 31.자 2009카합3358 결정

    종합유선방송사업자가 지상파방송사업자의 디지털 지상파방송을 수신하여 실시간으로 가입자에게 재전송한 사안에서, 위 재전송행위는 수신보조행위가 아니라 동시재송신에 해당하므로 지상파방송사업자가 동시중계방송권에 기하여 그 재송신의 금지를 구할 피보전권리는 인정되나, 장기간 위 권리침해 상태가 방임되어 왔으므로 가처분으로 긴급하게 그 재송신의 중단을

    자세히 보기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6-360-0022273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