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서성 (배재대학교) 조성천 (을지대학교)
저널정보
중국문화연구학회 중국문화연구 中國文化硏究 第30輯
발행연도
2015.11
수록면
47 - 64 (18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從現代協商學的角度看『三國演義』談判術, 是在東方文化的基礎上爲順利開展協商奠定了基礎。本文首先注意到劉備和曹操之間的協商術的區別, 在於‘搶奪’和‘謙讓’的對應關係, 以此反映了尊劉貶曹的基本構圖。本文還把小說中的協商和談判歸結爲五個特點。其一是‘虛實’關係中對‘虛’的運用比較多, 尤其在弱者的立場上進行協商時需要考慮‘虛’的因素。其二是盡量反映了人際關係。應該減少對方的BATNA(達成協商協議的最佳選擇方案), 還要改善自己的BATNA。其三是利用環境因素和做勢假裝威脅, 周瑜開群英會也是一種對蔣幹勸降遊說的做勢, 有先發制人的效果, 因而蔣幹根本開不口一言勸降。其四是有時臨機應變而模糊處理來痲痹對方的思考, 更會發揮效果。其五是以不同的方式對付不同的人, 諸葛亮的群儒舌戰是最典型的例子。這些協商原理都注重於間接的‘虛’的方式, 體現了東方人的文化和心理. 對於探究現代協商方案策劃具有一定的借鑒意義。

목차

1. 서론
2.『삼국연의』의 배분적 협상과 통합적 협상 전략
3. 『삼국연의』의 협상 전략
4. 결론
參考文獻
中文提要

참고문헌 (12)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6-912-002154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