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1. 지역어-표준어의 외부
2. 지역어의 발견과 ‘내부식민지인’이라는 자각
3. 비타협적 지역(어)의 가능성
4. ‘지역어-제주/표준어-국가’라는 위계를 넘어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국어교육에서의 지역어 교육의 필요성과 방안
어문론집
2015 .06
언어 패러다임의 변화와 지역어의 가능성에 대한 시론
코기토
2023 .10
번역적 신체의 탄생과 마이너리티의 목소리─ 제주와 오키나와를 중심으로 ─
일본학보
2021 .01
‘표준어 규정’에 대한 판결문을 통해 본 표준어 인식의 배경과 한계 : 2009년 판결문(2006헌마618)을 대상으로
코기토
2021 .06
지역어의 시간적 변화를 통해 본 언어 변화의 실제와 양상 : 1990•91년과 2013년 정선 지역어의 비교를 중심으로
국어국문학
2016 .09
남한 표준어 규정 정책의 변화 연구
한국사상과 문화
2019 .01
표준어 선정 원칙에 대한 새로운 방향 모색
한국어학
2015 .05
남북한 표준어 정책 전환의 필요성‒포스트휴머니즘 시대 표준어가 소통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동양학
2018 .01
말을 두고 말해본다
중국조선어문
2017 .03
언어를 통한 로컬리티 연구 : 대상과 방법을 중심으로
우리말글
2017 .12
다이글로시아에서 단일언어주의로 : 방언/지역어의 위치와 변화
코기토
2023 .10
‘방언’에 대한 언중의 언어 태도 고찰
어문논총
2022 .02
20세기 전기 중국 국어운동의 전개 -언어 통합의 과제를 둘러싼 離合-
역사와 담론
2022 .01
문학 언어의 정치적 가능성에 대한 시론 : ‘문학의 언어’에서 ‘문학과 언어’로
어문논총
2017 .08
초연결사회 영화의 지역어 구현 양상 연구
어문학
2024 .12
서해5도 지역어와 방언구획
방언학
2021 .01
국립국어원 지역어 조사 사업 추진 현황과 결과
새국어생활
2016 .00
지역어 실태 조사 현황 및 디지털 방안 모색 - 지역어 조사와 민족 생활어 조사를 중심으로 -
어문연구
2023 .03
전성태 소설 「로동신문」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접근
인문과학연구
2016 .12
시어와 ‘장소’ ― 김영랑의 시를 중심으로 ―
현대문학이론연구
2015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