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머리말
2. 中央 敎育行政機構의 樹立
3. 提學使의 設置와 그 特徵
4. 勸學所ㆍ敎育會와 ‘官紳協力’
5. 맺음말
참고문헌
<中文摘要>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북경정부의 교육행정기구 설립과 변화, 1912-1928
중국근현대사연구
2019 .09
제1차 國共合作 결렬 이후 국민당 改組派의 國民革命 이해와 사상적 전환 - 陳公博의 國民革命論을 중심으로 -
동양사학연구
2019 .06
韩国文化产业发展与中韩文化产业合作
한국학연구
2016 .12
淸 勅使·通官에의 조선 호피 · 표피 사여와 무역
동국사학
2020 .01
一帶一路와 한-중 FTA가 새만금사업에 주는 법제적 시사점 45
한중관계연구
2015 .01
[書評]悲壯與豪邁的抗戰史詩 -評民革中央聯絡部編的<<長城與抗戰>> (北京: 團結出版社, 2016)
중국사연구
2016 .12
中韩地方政府交流与合作的机制与现状分析
중국학
2019 .01
부여의 국가구조와 四出道
한국고대사연구
2019 .12
北宋 後期 西北邊 開邊策의 수행과 武臣 · 宦官의 활용 : 帥臣 · 大帥 임용을 중심으로
동양사학연구
2017 .12
韩国‘新南方政策’与‘一带一路’东盟合作
한중인문학연구
2020 .01
안원(顔元) 『사존편(四存編)』의 교육적 의미 —「존학편(存學編)」과 「존성편(存性編)」을 중심으로—
동방문화와 사상
2021 .12
한국과 중국 지방간 경제협력 방안 연구-도시간 무역협정의 체결 추진 가능성을 중심으로-
한중관계연구
2018 .01
발해 〈함화 11년 중대성첩〉의 재검토
고구려발해연구
2024 .07
考古学からみた海を介した交流三題: 新安海底沈没船⋅竹幕洞祭祀遺跡⋅日本 秋田城跡
유라시아문화
2021 .08
甲午改革期監理署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한일관계사연구
2017 .04
20세기 전반 재조선 중화상회 연구 - 중화상회의 역사적 변천을 중심으로 -
중국근현대사연구
2020 .06
郭嵩燾의 出使 여정과 ≪使西紀程≫의 成書 과정
중국문학
2020 .01
다산 인성론의 형성과 전개에 관한 연구
양명학
2019 .03
朝鮮과 明·淸의 國家統治 思想 比較硏究
한중인문학포럼 발표논문집
2016 .11
신유학의 아동교육(1) : 주자와 왕양명을 중심으로
양명학
2015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