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요약
머리말
Ⅰ. 고추가의 기원과 성격 변화
Ⅱ. 패자, 우태, 조의의 기원과 성격 변화
Ⅲ. 대로, 주부의 기원과 성격 변화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고구려 對盧의 성격과 역할
사학연구
2017 .09
고구려 전기의 지배세력 재편과 관등제
한국고대사연구
2020 .09
고구려 초기 官制의 重層的 구조와 운영
고구려발해연구
2022 .07
고구려 초기 대가(大加)의 성격과 상위 관제(官制)의 작적(爵的) 운영
동북아역사논총
2016 .09
5세기 百濟 官制에 미친 中國 將軍制의 영향
백제학보
2024 .08
『삼국사기』직관지 관등규정의 유형과 정비과정
한국사학보
2016 .05
百濟의 王·侯號에 대한 역사적 경험과 그 활용 배경
한국고대사연구
2021 .12
한국 고대 ‘書記’ 제도의 기원과 전개
사림
2024 .01
고구려 평양도읍기 王城의 추이와 왕권
한국고대사연구
2021 .03
백제 시조 전승의 양상과 변화 원인
역사학연구
2017 .01
‘영남대로’의 브랜드스토리텔링을 위한 제언
동아인문학
2018 .09
고려전기 재상의 임명과정과 宣麻儀
역사와실학
2019 .04
Assessing the readability of fiction: a corpus analysis and readability ranking of 200 English fiction texts
언어연구
2018 .01
6세기 신라 干群 경위의 구성과 성립과정
사학연구
2018 .09
支配層 編制에 나타난 新羅의 國家形成 構圖
역사교육
2018 .06
前漢 시기 爵位와 贖罪의 관계 - 貢禹의 “除贖罪之法”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
중국고중세사연구
2025 .02
前漢初 縣吏의 任職경로와 秩·爵의 조정 - 『張家山漢簡』(336號墓) 「功令」 분석을 중심으로 -
중국고중세사연구
2024 .05
백제 사비시대 관인의 인사제도 복원 시론 - 동아시아 인접국가의 사례를 참고하여 -
백제학보
2024 .02
오늘날의 낙랑군 연구
역사비평
2016 .02
Next of “King”
Localities
2016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