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머리말
Ⅱ. 唐 後期의 ‘變革’과 새로운 법제들
Ⅲ. 法典 編纂 形式의 변화
Ⅳ. 律令制의 變質에 대한 論議
Ⅴ. 맺음말
참고문헌
〈中文摘要〉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Analysis of July Seventh Poetry Transition between 8~11th Century around East Asia - The Critical Point of Time Hei’an Era -
일본문화연구
2023 .10
古代朝鮮半島の国名を付した「国記」について : 編纂とその背景をめぐって
동서인문학
2015 .12
신라 중대의 國制 개혁과 律令 改修
역사학보
2018 .06
唐 後期 중앙권력의 將領 관리·통제 시도
동양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16 .04
근대 중국의 唐詩 읽기와 정전으로서의 ‘唐詩’
한국중어중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20 .11
明代 詩選集을 통해 본 唐詩에 대한 지식의 창출과 수용
중국문학
2018 .01
任半塘 《唐戲弄》<總說> ‘晩唐’ 부분 譯註
중국어문논역총간
2017 .07
唐ㆍ五代 法典 編纂 形式의 변화와 그 성격 : 『唐會要』ㆍ『五代會要』 ‘定格令’ 譯註
중국고중세사연구
2015 .02
어떤 후기
숙명문학
2020 .11
문학적 전범으로서 ‘唐詩’에 대한 지식의 유통과 확산 — 朝鮮의 唐詩選集 간행과 수용의 역사를 중심으로
중국어문논총
2019 .01
TV 드라마에서의 인명 사용에 관한 한일언어 비교연구 -풀 네임을 중심으로-
일본어학연구
2020 .12
6세기 신라 법흥왕대 반포 율령의 성격
동국사학
2017 .01
문무왕대 고구려·가야의 조상제사 재개 조치와 그 의미 : 중국 二王後 제도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연구
2017 .06
《叻报》之记事与记言 ——1887-1889年间叻地“申淫风、杜拐风”之社会面貌(会议初稿,请勿征引。)
한국중어중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9 .11
遣唐使 語義의 재발견과 그 함의
대구사학
2020 .01
韓國 古代 律令 硏究를 위한 몇 가지 提言
동국사학
2015 .01
근대 중국의 唐詩 읽기와 정전으로서의 唐詩
중국어문논역총간
2022 .01
고려시대 육류 소비 풍속과 그 實際
한국민속학
2022 .11
秦代 ‘以吏爲師’와 ‘史’職의 위상
동양사학연구
2020 .09
프랑스 선교사제의 서한을 통해 본 기해교옥과 조선대목구의 실상 - 모방 신부·샤스탕 신부·앵베르 주교의 서한을 중심으로
교회사학
2020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