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머리말
Ⅱ. 장서각 소장 <진설도>의 용도
Ⅲ. <진설도>에 나타나는 제기 분석
Ⅳ. 조선후기 왕실 의례 정비와 <진설도>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유교사상을 통해 본 전통 공간 종묘(宗廟)의 유·무형적 미의식 연구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2015 .01
종묘와 종묘제례악의 공간성과 문화적 의미 - 푸코의 ‘헤테로토피아’ 개념을 중심으로 -
무형유산학
2024 .11
숭덕전(崇德殿) 제기유물의 제작시기와 양식 고찰- 종묘제기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조형디자인연구
2015 .01
Easy Rituals
한국디자인학회 국제초대전도록
2024 .06
Ritual of Everyday Digital Life: Towards Human-Centred Smart Living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022 .05
통과의례한복의 인문학적 고찰
아시아민족조형학보
2015 .12
대한제국기 종묘 黃蓋의 특징과 형식변화
조형디자인연구
2023 .03
제의연극치료의 수행적 제의기술 일고
연극예술치료연구
2020 .01
4대왕 추모제,백제고분제·왕인박사춘향대제에 나타난 제례복식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2015 .10
대한제국기 十二章 도상의 계승과 확산
미술사학연구(구 고고미술)
2017 .03
Exploring Digital Gifting Rituals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022 .05
고종의 국장의식과 음악
음악과 현실
2022 .04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음악교과서의 종묘 제례악 지도 내용 고찰
국악교육
2016 .06
외모단장 의례에 대한 탐색적 연구: 사적 자아에서 공적 자아로의 일상적 전환
한국의류산업학회지
2016 .01
대한제국 황실 어린이 의례복식에 관한 일고찰 -장서각 소장 영친왕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복식
2018 .01
문화복합 퍼포먼스로서 왕실・황실제례 - 조선 종묘제례와 로마 황제숭배의례를 중심으로
한국연극학
2019 .01
구한말 왕실소장 일본미술 서적의 조사 및 연구
미술사논단
2021 .06
조선후기 칠궁과 내부 의장물 비교 연구
조형디자인연구
2018 .01
종묘 공간 구조에 나타나는 환유적 표현 특성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22 .08
제례악의 무대화, 어떻게 할 것인가
국악원논문집
2024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