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머리말
Ⅱ. 조상을 위한 배려의 장치, 일상적 요소
Ⅲ. 조상제례의 신성화를 위한 비일상적 요소
Ⅳ. 맺음말 : 양극적 요소로 구성된 의례드라마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Who Are Venerated in Contemporary Domestic Ancestral Rites? An Aspect of Ritual Change among Urbanites in Korea
Korea Journal
2014 .03
한국 개신교 조상의례의 변천과 쟁점
종교연구
2012 .12
유교 조상의례의 미래
종교연구
2012 .12
The Abolition of Ancestral Rites and Tablets by Catholicism in the Chosŏn Dynasty and the Basic Meaning of Confucian Ancestral Rites
Korea Journal
1984 .08
祭祀와 관련된 ‘示’ 부수 漢字에 반영된 고대 중국인의 文化思維 : 天地人 神靈을 대표하는 ‘神’ ‘祇’ ‘社’ ‘祖’를 중심으로
중국문화연구
2017 .11
한국 선교사(宣敎史)에 나타나는 제례문제와 의미
대학과 선교
2017 .01
의례와 상징 : 조선시대 유교의례의 사회적 기능과 상징적 의미 : 조상제례를 중심으로
국학연구
2009 .06
삼척지역의 ‘제사 모셔가기’ 고찰
仙道文化
2015 .01
朱熹 四代奉祀論의 정립과 그 의미
동양철학
2014 .01
조상제사를 둘러싼 이론과 실제 : 안동지역 불천위제사의 제물과 진설을 중심으로
지방사와 지방문화
2006 .05
이황과 이익의 상·제례 예설 비교
韓國史學史學報
2020 .01
상ㆍ제례의 한국적 전개와 유교의례의 문화적 영향
국학연구
2010 .12
신주(神主)를 통해본 유교의 영혼관
비교민속학
2006 .08
中國古代 祖先祭祀의 形成과 意味
역사와 세계
2015 .06
불교 조상의례의 사상적 특징과 전개
종교연구
2012 .12
여말선초 불교와 유교의 사생관과 조상의례
포은학연구
2013 .01
경기지역 종가제례음식 연구 -불천위제 음식의 유형과 재료를 중심으로
국학연구
2020 .07
원불교의 조상의례와 천도
종교연구
2012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