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한글요약〉
Ⅰ. 연구사 검토와 문제제기
Ⅱ. 『바셰(dBa’ bzhed)』에 기술된 호탄불교
Ⅲ. 둔황 출토 펠리오 티벳사본 『호탄국불교사(Li yul chos kyi lo rgyus)』에 기술된 호탄불교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5분 만에 읽는 중국] 위지을승과 호탄 왕국
유레카
2021 .08
화엄경의 편집은 호탄(Khotan)에서 이루어졌는가
불교학연구
2015 .01
특별기고 : 새로 발견된 한자(漢字)-호탄 문자의 이중언어 목간
江原史學
2015 .01
페마 체덴(Pema Tseden), 혹은 완마차이단(萬瑪才旦) : 중국 티벳 청년감독의 어떤 자화상
중국문화연구
2015 .02
Time Measurement in Tibet: A Critical Introduction to the Works on Kālacakra Astronomy by Dieter Schuh, Premier Scholar in Contemporary German Tibetology
인도철학
2017 .01
<바세> 5종 필사본에 보이는 ‘김 화상 기록’ 비교 연구
인도철학
2019 .01
몽골의 티벳불교 수용에 따른 종교와 사회변화 고찰
禪文化硏究
2019 .01
다종교시대 한국현실과 불교의 대응
불교문예연구
2023 .06
현공(玄空) 윤주일의 불교교육사상과 그 실천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16 .06
고대 한국의 세속불교 : 기원, 전개 및 배경
한국불교학
2020 .01
네팔 불교의 특수성과 시대적 변화 분석 - 네와르 불교를 중심으로
불교학보
2024 .07
일제 식민정책과 조선불교의 일본화에 대한 재검토
역사민속학
2015 .11
한국불교의 세계화를 위한 전법전략과 과제
불교학보
2020 .06
독일 불교학자들의 불교인식: 불교연구 초기단계 두 독일 문헌학자를 중심으로
독일연구 - 역사·사회·문화
2017 .01
만해 한용운의 1930년대 조선불교 개혁과 동력 -잡지 『불교』를 중심으로-
한중인문학연구
2023 .03
초기불교 교재의 구성과 내용
한국불교사연구
2021 .12
『삼국유사』의 구도 설화와 티벳 밀교 전기문의 비교 - 여성의 이미지와 역할의 유사성을 중심으로 -
불교학보
2022 .11
불교교육학의 종교교육적 성격과 과제-종교교육학연구 20년의 회고와 전망-
종교교육학연구
2015 .01
3 · 1운동과 불교
한국기독교와 역사
2017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