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논문요지
Ⅰ. 서론
Ⅱ. 논의 대상이 된 판례들
Ⅲ. 감사인의 손해배상책임의 법적 성질
Ⅳ. 청구권경합설과 소송물 이론과의 관계
Ⅴ. 본 판례 사안에서 청구권 경합 이외의 논점
Ⅵ. 결론 - 입법론
참고자료
Abstract
대법원 2006. 12. 22. 선고 2004다63354 판결
[1] 금융기관이 기업체와 기업어음 한도거래 약정을 체결하고 일정 기간 동안 기업어음의 만기 도래시마다 회전매입하는 방식으로 여신을 제공하기로 약정하였는데 그 약정이 대규모 분식의 결과이어서 금융기관이 그러한 사정을 알았더라면 그대로 여신을 제공하지 아니하였으리라고 인정되는 경우, 회전매입을 결정할 시점 전에 이미 회전매입을 거절하기에 충분
자세히 보기대법원 1967. 12. 5. 선고 67다2251 판결
전세권자는 전세물인 가옥을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로써 보관할 의무가 있고 계약이 해지되면 전세물을 반환하여야 하는 채무를 지는 것이므로 전세권자의 실화로 인하여 가옥을 소실케 하여 그 반환의무를 이행할 수 없게 된 때에는 한편으로는 과실로 인하여 전세물에 대한 소유권을 침해한 것으로서 불법행위가 되는 동시에 한편으로는 과실로 인하여 채무를
자세히 보기대법원 1980. 11. 11. 선고 80다1812 판결
가. 해상운송인이 고의나 과실로 운송화물을 멸실, 훼손시킨 때에는 그 원인이 상사과실이거나 항해과실이거나에 관계없이 운송계약상의 채무불이행 책임과 화물소유자에 대한 불법행위 책임이 경합하는 것이므로 권리자는 그 중의 어느 쪽의 손해배상청구권도 행사 할 수 있다.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4. 12. 24. 선고 2013다76253 판결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8. 4. 24. 선고 97다32215 판결
[1] 구 증권거래법(1997. 12. 13. 법률 제542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97조 소정의 감사인의 손해배상책임은 그 요건이 특정되어 있고, 그에 대한 입증책임이 전환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손해배상액이 추정되어 선의의 투자자가 보다 신속하게 구제 받을 수 있게 하는 한편 유가증권 시장의 안정을 도모하기 위하여 그 책임을 물을
자세히 보기헌법재판소 1996. 10. 4. 선고 94헌가8 전원재판부
가. 증권거래법 제197조 제1항에 의하여 준용되는 외감법 제17조 제2항 전단은 그 입법연혁이나 입법목적/ 다른 조항과의 균형있는 해석 등 어느모로 보나 "회계법인인 감사인이 당해 감사에 참여한 공인회계사가 그 임무를 해태하지 아니하였음을 증명하는 경우에는 위 규정에 의한 손해배상책임을 지지 아니하는 것"으로 해석되며, 그렇게 해석하는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7. 9. 12. 선고 96다41991 판결
[1] 증권거래법 제197조 제1항에 의하여 준용되는 구 주식회사의외부감사에관한법률 제17조 제2항, 제6항 전단에 의하면, 감사인이 중요한 사항에 관하여 감사보고서에 기재하지 아니하거나 허위의 기재를 함으로써 제3자에게 손해를 발생하게 한 때에는 그 감사인은 제3자에 대하여 손
자세히 보기서울서부지방법원 2006. 7. 26. 선고 2005가합6082 판결
[1] 회계법인은 감사인으로서 감사대상회사의 각 재무제표에 대한 외부감사를 실시함에 있어서 공인회계사법, 주식회사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과 금융감독위원회가 증권선물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제정한 회계감사기준 및 회계감사기준 제34조에 의하여 한국공인회계사회가 정한 회계감사준칙에 따라 감사하여야 할 임무가 있고, 또한 감사대상회사와 외부감사계약을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9. 10. 22. 선고 97다26555 판결
[1] 구 증권거래법(1997. 12. 13. 법률 제5423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97조 제1항 소정의 감사인의 선의의 투자자에 대한 손해배상책임은 그 발생의 요건이 특정되어 있고, 그에 대한 입증책임이 전환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손해배상액이 추정되어 선의의 투자자가 보다 신속하게 구제받을 수 있게 하는 한편 유가증권 시장의 안정
자세히 보기대법원 1977. 12. 13. 선고 75다107 판결
운송약관상의 채무불이행 책임과 불법행위로 인한 책임이 병존하는 경우에 상법상 소정의 단기소멸시효나 고가물 불고지에 따른 면책 등의 규정 또는 운송약관규정은 운송계약상의 채무불이행으로 인한 청구에만 적용되고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에는 그 적용이 없다.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부실감사에 대한 외부감사인의 책임체계와 개선방안
법학연구
2020 .05
감사인의 법적책임과 재무보고의 신뢰성
경영연구
2015 .01
이사의 제3자에 대한 손해배상책임에 관한 소고
법학논총
2015 .02
운송인에 대한 청구권 경합에 관한 소고- 소송물 이론을 중심으로 -
고려법학
2024 .06
3 당사자 관계에서 ‘손해의 발생’- 유형 및 해결, 소송의 주관적·예비적 병합 등과 관련하여 -
법조
2016 .01
회계감사에 대한 감사의 역할과 책임
경영법률
2021 .01
코로나 바이러스 전파와 손해배상책임
비교사법
2022 .11
택배 화물 손해에 대한 손해배상청구권 일원화 방안
법학논총
2022 .06
근로자의 업무수행 중 야기한 손해에 대한 노동법상 책임제한에 관한 소고(小考) : 판례를 중심으로
법학논총
2017 .01
제조물책임법상의 징벌적 손해배상론
저스티스
2017 .12
회계감사인의 과실책임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영국 회사법과 보통법을 중심으로 -
법학논고
2024 .07
불법행위 손해배상 원칙의 수정으로서 책임제한과 비례책임의 비교
법학논총
2016 .06
귀책원리로서 공평책임의 비교법적 연구
법이론실무연구
2017 .04
이른바 판례상 책임제한에서 고려되는 주요 요인
비교사법
2015 .02
新외감법의 감사인 지정제도 개정시행으로 인한 영향: 외부감사인 등급 하향신청 기업을 중심으로
회계저널
2020 .01
공동불법행위와 판례상 부진정연대배상책임의 조정 및 한계 - 대전고등법원 2015. 3. 18. 선고 2014나10265 판결 및 대법원 2010. 1. 28. 선고 2007다16007 판결을 중심으로 -
동북아법연구
2017 .01
외부감사인의 감사업무 수행에서의 구체적 주의의무와 제3자에 대한 손해배상책임 - 대법원 2022. 7. 28. 선고 2019다202146 판결을 중심으로 -
상사판례연구
2023 .04
경영자와 감사인간의 유대관계가 감사인 선임에 미치는 영향
회계정보연구
2018 .01
인공지능과 불법행위책임
정보법학
2021 .08
매매목적물의 하자로 인한 손해배상
재산법연구
2021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