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1. 문학과 봄
2. 시조와 봄의 세 층위
3.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새 발굴 가사집 『춘경가(春景歌)』 작품 세계 연구
국문학연구
2019 .01
정전 이어쓰기를 통한 주제의 심화와 변주 양상 - 「봄·봄」과 『다시, 봄·봄』을 중심으로 -
어문론집
2022 .06
현대시조 창작교육의 실천적 연구― 연시조의 의미 전개를 중심으로 ―
현대문학이론연구
2015 .01
시조로 말하기 : 어지러운 시대의 시조 : 李德一의 〈憂國歌〉를 중심으로
우리문학연구
2015 .01
현대시조 전후 세대의 불교성 연구
시조학논총
2022 .01
세계화 시대, 시조의 고유성과 보편성 탐색 -형식 논의로 본 시조의 매력-
우리말글
2020 .12
시조 교육의 양상과 과제 -초등학교 국어교과서 수록 제재를 중심으로-
국어문학
2019 .11
한국어 학습자 대상 시조 교수-학습 모형 연구
시조학논총
2022 .07
시대 문학으로서의 시조와 문학 교육
시조학논총
2016 .07
문화적 맥락에서의 시조문학교육 -운초 박재두 시조를 중심으로-
우리문학연구
2020 .10
미장센을 통한 시조와 영상의 접속과 교육적 제언
어문학
2024 .12
시조, 나는 이렇게 읽고 썼다
시조시학
2024 .12
시조를 활용한 한국어 수업의 실제- 창의적 글쓰기를 위한 시도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2020 .01
설득형 시조의 유형과 논증 구조에 관한 試論
시조학논총
2017 .01
현대 시조의 음악성 考
시조학논총
2015 .01
‘新文’으로 호명된 전통 시가의 행방 ? 1910년대 잡지 수록 창작시조와 시조비평의 성격
고전문학연구
2020 .01
1910년대 시조양상 연구 - 가창에서 묵독으로의 이행 양상을 중심으로 -
어문론집
2023 .03
고전과 노래, 시조의 이중적 위치 -1890년대부터 1910년대까지 시조를 중심으로-
시조학논총
2025 .03
시조문학으로 읽는 1990년대
시조시학
2021 .06
시조문학으로 읽는 1980년대
시조시학
2021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