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Abstract
1. 머리말
2. 간접발화와 직접발화
3. 선행연구의 검토
4. 연구방법
5. 조사의 결과 및 고찰
6. 조사결과의 한일비교
7. 마무리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국어 전달문의 혼합유형에 관한 몇 가지 관찰 - 자유간접화법과 내포직접화법을 중심으로
담화와인지
2021 .05
Speech in Cognition and Second Language Acquisition
신영어영문학
2018 .02
황석영 저, ‘삼포 가는 길’에 나타난 자유직접화법 번역양상에 관한 코퍼스 기반 연구
번역학연구
2017 .06
한국인 표준 음성 DB 구축
말소리와 음성과학
2015 .03
인공지능 학습을 위한 외국인의 한국어 발화 음성 데이터 구축 방안
언어과학연구
2022 .03
간접화행으로 본 청소년 언어사용 분석
언어과학연구
2017 .09
한국어 남․여교사의 음성적 특징이 외국인 남성 학습자의 발화에 미치는 영향
동악어문학
2016 .02
파킨슨 환자의 클리어 스피치 전후 음향학적 공기역학적 특성
말소리와 음성과학
2017 .09
한국 단편소설의 화법과 영어번역에 관한 논의 - 오정희의 ?동경?을 기반으로 -
통역과 번역
2022 .08
목사 ‘설교’ 담화분석
한말연구
2019 .01
교실 수업에서 교사 발화의 지시화행 유형 및특징 연구
한중인문학연구
2016 .01
한국인 표준 음성 DB 구축(II)
말소리와 음성과학
2017 .06
汉语否定形式祈使句拒绝言语行为分析
동아인문학
2021 .03
진술화행의 개념과 범주에 관한 연구
우리말연구
2017 .07
품사 통용어 교육을 위한 품사 개념 및 품사 통용어에 관한 학습자 인식 연구
언어학 연구
2016 .07
Acoustic Characteristics of Read and Spontaneous Speech in Seoul Korean with Between-age Variability
한국어학
2019 .11
Native listeners' perceptual assessments of native and foreign-accented speech and their associations with various speech properties
언어연구
2024 .03
정보 제공 스피치의 은유 사용 양상 연구 - 강연 담화를 중심으로 -
화법연구
2019 .01
On the Ambiguity of (Negative) Interrogatives
생성문법연구
2015 .01
근현대기 일본문법서에 나타난 품사 분류 체계와 품사명의 추이에 대하여 - 에도와 메이지기 자료를 중심으로 -
한민족문화연구
2016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