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개신교의 세시풍속은 한국 세시풍속 가운데에서 한국 개신교의 것을 일컫는 말이다. 이 글에서는 한국 개신교 세시풍속의 이모저모를 알아보되, 현재의 상황을 가능한 한 다양하게 포착해 보려 노력하였고, 과거의 모습과 현재의 모습을 비교하기도 하였다. 요약해 종합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개신교 세시풍속은 매년의 세시풍속, 계절별 세시풍속, 매월의 세시풍속, 매주의 세시풍속, 매일의 세시풍속, 이렇게 다섯 범주로 존재한다. 둘째, 매년의 세시풍속으로 근래의 것과 전통적인 것이 있다. 근래의 것으로는 교회력에 의한 것이 있는바, 대림절(Advent), 성탄절, 주현절, 재의 수요일, 사순절, 종려주일, 수난절, 세족목요일, 성금요일, 부활절, 성령강림절 등이 그것이다. 전통적인 것으로는, 교회력과 겹치는 것도 있지만, (1) 송구영신예배, (2) 새해 심방, 신년특별집회, 교사 임명, (3) 설 명절, (4) 대보름 윷놀이, (5) 봄 대심방, (6) 부활절, (7) 맥추감사절, (8) 어린이주일, (9) 어버이주일, (10) 여름성경학교, (11) 수련회, (12) 가을 대심방, (13) 추석 명절, (14) 추수감사절, (15) 김장, (16) 수능생을 위한 기도회, (17) 당회(공동의회), (18) 성탄절, (19) 교회창립주일 등이 있다. 셋째, 계절별 세시풍속은 희소한데, 강화 지역의 여선교회 계삭회가 유일하다. 넷째, 매월의 세시풍속에는 월삭 새벽기도회, 수요예배, 금요속회(구역예배), 금요저녁기도회(심야기도회), 새신자환영 등이 있다. 다섯째, 매일의 세시퐁속에는 새벽기도회, 성미 뜨기, 가정예배 등이 있다. 여섯째, 기타의 세시풍속으로, 교회나 기관에 따라 다양한 행사들이 존재한다. 한국 개신교에서는 전통 세시풍속 가운데 가장 큰 명절인 설과 추석을 교회 공동체의 세시풍속화하지는 않고 있다. 하지만 최대한 존중하여, 그 기간에는 교회의 행사를 쉰다거나 예배순서지를 제공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Korean Christianity here refers to the Protestant Churches in Korea. This paper aims to find out about the general aspects of the seasonal rituals or customs that take place at these churches, comparing the present with the past and thus striving to grasp the whole range of their status quo. The summary is as follows. First, there are five categories: annual, periodical, monthly, weekly, and daily rituals or customs. Second, annual rituals are categorized into modern and traditional. Modern rituals follow the Church Year calendar, which include Advent, Christmas, Epiphany, Ash Wednesday, the Lent, Palm Sunday, Passion Week, Maundy Thursday, Good Friday, Easter, Pentecost, etc. Traditional rituals may either follow the Church Year calendar or be connected with the Korean traditional rites, and they consist of 1) New Year"s Eve service, 2) New Year"s visitation, New Year special meeting, appointing Sunday School teachers, 3) Lunar New Year"s Day 4) Full Moon festival 5) Spring visitation 6) Easter 7) Feast of Harvest 8) Children"s Day 9) Parents" Day 10) Summer Bible School 11) Summer Retreat 12) Fall visitation 13) Korean Thanksgiving Day 14) Thanksgiving Day 15) preparation of seasoned cabbage 16) prayer meetings for college admission applicants 17) General Assembly 18) Christmas 19) Church Foundation Day, etc. Third, periodical rituals or customs are rarely found in such as Gyesakhwoi that the women"s mission in Ganhwa area maintains. Fourth, monthly rituals or customs include monthly dawn prayer meeting, Wednesday worship, Friday local group meeting, Friday evening prayer meeting, meetings for welcoming newcomers, etc. Fifth, daily rituals include Dawn Prayer meeting, Lord"s Pot offering, home worship, etc. Last, there still exist other rituals or customs that different churches or organizations observe. New Year"s Day and Korean Thanksgiving Day, two biggest traditional holidays in Korea, are not formally ritualized in Korean Protestant Churches, but greatly honored to such an extent that they make sure to plan no church activities during these holidays except for providing the home worship proceedings aid for their members. Traditions are said to be "made." There is one aspect that needs to be addressed that we should not miss our chance of enriching our seasonal customs by utilizing the Protestant Churches" customs or rituals, and that the opposite case could also pay of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