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서론
2. 주권과 독재
3. 예외상태의 정치미학
4. 시간의 종말, 종말의 시간
5. 결론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코로나 시대, 서구 위기담론에서 드러난 근대국가와 종교 문제: 슈미트의 정치신학적 관점에서
종교문화비평
2021 .09
예외상태의 정치적 존재론 : 슈미트와 벤야민의 예외상태론 논쟁 고찰
시대와 철학
2016 .12
지젝의 슈미트 해석과 비판
문화과학
2015 .12
‘적의 소멸’과 정치신학 - 칼 슈미트의 카테콘과 메시아
인문논총
2015 .01
[작품론] 에로스의 인력引力, 혹은 번짐의 미학
시조시학
2015 .12
아감벤의 문학 사용법-로베르트 발저의 경우
비교문학
2018 .06
일본 영화에 나타난 가족의 의미와 재현 양상 : 『동경이야기(東京物語)』(1953)와 『동경가족(東京家族)』(2013) 속 가족모델 재현의 정치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18 .04
팬데믹과 얼굴: 아감벤의 정치철학의 맹점과 한계
비평과이론
2022 .06
An Observation of the Political in Husserl’s Phenomenological Critique and Subjectivity : A Schmittian Investigation
현상학과 현대철학
2018 .09
슈미트와 하이데거 : ‘정치현상학’의 가능성 모색
현상학과 현대철학
2018 .09
A Study of Messianic and Weak Politics in Giorgio Agamben’s Theory of Biopolitics
비평과이론
2016 .01
홉스를 읽는 슈미트 -급진민주주의 관점에서의 징후적 독해-
철학
2023 .11
벌거벗은 존재로서의 난민과 도래하는 공동체의 잠재성 연구
비평과이론
2020 .01
찰스 번스틴의 ‘윤리적, 미학적, 정치적’ (반)시학에 대한 연구
비평과이론
2018 .01
“옴이 있는 곳을 긁게 만들어라” : 아감벤의 『얼굴 없는 인간』과 『저항할 권리』 서평
인문학연구
2023 .06
면역과 얼굴: 공동체에 대한 에스포지토와 아감벤의 사유
새한영어영문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2023 .05
바울신학가이드 18 : 조르지오 아감벤 I
제3시대
2016 .10
알레고리가 아닌 예외 -칼 슈미트의 정치신학과 발터 벤야민의 역사철학에 대하여
서강인문논총
2020 .04
아감벤의 부정성 개념과 미학
철학논총
2023 .01
해체 이후 거대 서사의 가능성과 아감벤 - 아감벤의 ‘벌거벗은 생명’과 ‘도래하는 공동체’를 중심으로
대동철학
2017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