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요약문】
1. ‘정치현상학’의 가능성
2. 근대성과 정치문법의 가능성
3. 슈미트의 내부와 외부의 구분
4. 하이데거의 정치와 존재의 동일성
5.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적의 소멸’과 정치신학 - 칼 슈미트의 카테콘과 메시아
인문논총
2015 .01
An Observation of the Political in Husserl’s Phenomenological Critique and Subjectivity : A Schmittian Investigation
현상학과 현대철학
2018 .09
Political-Philosophical Understanding and Teaching about Political Philosophy
철학논총
2016 .04
주권의 정치와 대화의 정치 : 슈미트와 아렌트의 정치사상적 비교를 중심으로
현상학과 현대철학
2018 .09
돌봄의 정치: 무엇을 돌볼 것인가?
문화과학
2024 .12
아렌트 정치철학의 관점에서 본 하이데거 철학의 문제점
인문학연구
2020 .01
슈미트의 『정치적 낭만주의』에서의 가톨릭 현실정치의 이론
인문논총
2020 .01
코로나 시대, 서구 위기담론에서 드러난 근대국가와 종교 문제: 슈미트의 정치신학적 관점에서
종교문화비평
2021 .09
홉스를 읽는 슈미트 -급진민주주의 관점에서의 징후적 독해-
철학
2023 .11
‘순수하게’ 정치적인 것에 대하여 ? 칼 슈미트의 결단주의와 그 비판자들 ?
개념과 소통
2021 .01
왕후이(王暉) ‘탈정치시대의 정치’ 소고
철학탐구
2015 .02
식민지 시기 지식인들의 하이데거 수용과 변용
현대유럽철학연구
2023 .01
내전과 현대 민주주의의 상황-슈미트의『리바이어던』 해석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2018 .01
하이데거의 복수성과 아렌트의 전유에 대한 고찰 - “그들”과 “빈말” 개념을 중심으로
대동철학
2023 .06
J. 랑시에르의 대안의 정치와 현상학적 에토스* - 민주주의의 재정립에 관한 고찰
동서철학연구
2024 .06
하이데거의 현상학-해석학적 존재론 개념
대동철학
2023 .06
“Large Space” and the (New) Cold War
인문학연구
2021 .06
알레고리가 아닌 예외 -칼 슈미트의 정치신학과 발터 벤야민의 역사철학에 대하여
서강인문논총
2020 .04
5·16 군사정부의 정치활동정화법 제정과 운용
대구사학
2016 .01
정당정치인가, 시민정치인가?
내일을 여는 역사
2015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