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박은진 (서울대학교)
저널정보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연구 국어교육연구 제57집
발행연도
2015.2
수록면
133 - 168 (36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 of cultural literac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critical research of the complexity of reconceptualization. To determine the meaning of cultural literac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reviewed the context of concept introduction, including the original concept under paying attention to ‘shared knowledge’ as core-meaning factor of ‘cultural literac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e found cultural literacy in Korean education exists in only a single ethnic community and we had to shift our attention to sharing knowledge process. Through research of cultural theory in England (especially the cultural theory of Birmingham School), we identified index of in literacy education containing different group matter. The discussion thus far insists to contain ‘Acceptance Model’ and ‘Sharing Model’ in cultural literacy education and suggests method to dealing both model in Korean language studies.

목차

Ⅰ. 문제제기
Ⅱ. 국어교육에서 문화적 문식성 개념의 의미역
Ⅲ. 핵심 개념소로서 공유된 지식 의 성격 문제
Ⅳ. 문화이론이 보여주는 범례들
Ⅴ. 문화적 문식성 교육의 방향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6-374-0013719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