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들어가는 말
2. 공안과추리소설의사이-비교문학적관점에서바라본 『신단공안』
3.『신단공안』의 세계 - 욕망과 감시의 권력
4. 맺음말
〈參考文獻〉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근대 전래동화 「해와 달」의 생성 양상 고찰 - 미와 다마키(三輪環)와 주요섭의 자료를 중심으로
세계문학비교연구
2024 .06
범죄담의 전승 상의 특징과 사회적 의미
어문론집
2017 .06
토픽 모델링을 이용한 범죄 관련 소설과 범죄 실화의 비교 분석
언어와 정보
2018 .11
청말민초 중국 탐정소설 담론 연구 – 계몽주의적 ‘승인’과 ‘배제’를 중심으로
외국학연구
2022 .09
The Detective Appears: Rethinking the Origin of Modern Detective Fiction in Korean Literary History
Korea Journal
2020 .09
포스트모더니즘의 작품으로 유리의 도시 읽기
영어영문학연구
2016 .01
통속문화의 맥락에서 접근한 고전소설 교육의 방향
국문학연구
2018 .01
말뭉치언어학 관점에서 신문기사 범죄사건 명명 방식 분석
담화와인지
2016 .05
근대계몽기 인쇄매체를 통해 살핀 ‘어문 의식’의 형성과 성장 과정에 대한 고찰 - 신문과 학술지를 중심으로 -
한말연구
2017 .01
계승과 통속-활자본 고소설의 존재방식에 대한 규명-
인문과학
2015 .01
1970-80년대 일본 추리소설 속 소년범죄의 등장에 따른 변화 고찰
일어일문학
2020 .11
김내성의 「마인(魔人)」 속 대중적 감수성과 탐정 서사
구보학보
2019 .01
Two Perspectives on the Land, State and the Environment in Pre-Modern and Modern Korea
Journal of Northeast Asian History
2023 .12
근대번역소설 속 수동표현의 기능 - 신정보 제시와 시점을 중심으로 -
일어일문학연구
2015 .08
한문현토체 신문소설 『신단공안(神斷公案)』으로 보는 범죄서사의 상업화
日本學硏究
2017 .01
중국 근현대 通俗文學의 정립과정에 대한 고찰
중국어문학논집
2019 .12
<神斷公案>과 <古今笑叢>의 비교 연구 -화소 비교를 중심으로-
열상고전연구
2015 .02
『황폐한 집』에서의 과도기적 추리서사—버킷의 재현을 중심으로
영어영문학21
2015 .01
소문에서 사실로, ‘위안부’에서 반전인사로 ― 중국 현대 일본인 ‘위안부’ 제재 작품과 그 특징 고찰
중국어문학지
2023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