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들어가면서
Ⅱ. 백종현 교수의 3비판서 번역
Ⅲ. 회상과 기대
Ⅳ. 나오면서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서평-『존재와 진리 -칸트(순수이성비판)의 근본문제』백종현, 철학과현실사 2000] 칸트 주제들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
철학과 현실
2003 .12
「칸트철학연구」
철학연구
1978 .12
『존재와 진리 - 칸트 <순수이성비판> 의 근본문제』 : 철학과 현실사 (2000) , 백종현
철학연구
2000 .03
얻은 것과 잃은 것 : 백종현의『순수이성비판』,『실천이성비판』,『윤리형이상학 정초』에 대한 서평
철학사상
2006 .12
칸트의 역사철학
철학연구
1985 .02
칸트의 역사철학
철학연구
1995 .08
칸트와 현대철학
철학연구
1983 .12
칸트 저(백종현 역), 『판단력비판』, 아카넷, 2009
철학
2010 .02
칸트와 비트겐슈타인의 비판철학
철학연구
1995 .08
칸트와 비트겐슈타인의 비판철학
철학연구
1985 .02
칸트철학에서 이론과 실천의 문제
철학연구
1989 .11
칸트 철학 연구에서 체계성과 역사성
철학연구
2003 .05
칸트 철학의 현대적 의의
철학연구
1983 .12
칸트의 철학 개념, 방법 그리고 주제
철학과 현실
1991 .09
칸트의 미학비판
철학연구
1970 .11
인식존재론적으로 해석된 칸트철학의 무개념
철학논총
1990 .11
칸트의 목적론
철학연구
1966 .10
칸트철학의 출발점-처녀작에 등장하는 칸트철학의 근본문제들
철학연구
1995 .08
칸트의 존재론적 신 증명-전비판기의 두 논문을 중심으로
철학연구
1998 .11
칸트 실천철학의 구조 : 도덕형이상학 , 법이론 , 덕이론
철학연구
1999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