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머리말
2. 향촌사회에서의 생원·진사
3. 서원 입원생의 자격기준으로서의 생원·진사
4. 소수서원 파격 논쟁
5. 맺음말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여말선초 생원.진사
사학연구
1997 .12
조선후기 향촌 사회구조
한국역사연구회회보
1989 .10
조선 서원의 발전과정과 향촌사회에서의 역할
안동학
2016 .12
고려시기 향촌사회의 조직과 운영
한국역사연구회회보
1989 .10
조선시대 향촌서당의 기능 : 17세기의 사회적 배경과 향촌교화를 중심으로
비교민속학
1991 .06
19세기 전반 향촌사회의 변동
한국역사연구회회보
1989 .06
조선시기 향촌사회사 연구의 성과와 전망
한국역사연구회회보
1999 .01
[특집:한국중세사회의 지배구조와 '민'의 성장] 고려 말 조선 초 향촌사회질서의 재편
역사와현실
1990 .05
조선전기의 향촌질서
동아문화
1976 .12
생원 진사시와 서울의 과거 풍속
[TCHCCOS] 향토서울
2006 .02
[특집:한국중세사회의 지배구조와 '민'의 성장] 12, 13세기 향촌사회의 변동과 '민'의 대응
역사와현실
1990 .05
조선중기 함안지역 재지사족층의 형성과 향촌지배
역사와경계
1999 .12
근대 중국 도시-향촌관계 연구의 시각과 쟁점
도시연구
2011 .06
17世紀 鄕村敎化論과 鄕禮 認識 - 李惟泰, 尹鑴, 朴世采를 中心으로-
동양고전연구
2010 .01
강소성에서의 태평천국의 향촌정책과 향촌사회의 대응 - 오강현 동이진의 사례를 중심으로 -
역사와경계
2002 .06
향촌사회의 문화 공간과 가사 향유
국어문학
2011 .02
《19세기 조선의 향촌사회 연구》 (고석규, 서울대출판부, 1998)
역사학보
1999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