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序論
Ⅱ. 美國에서의 公人에 대한 名譽毁損
Ⅲ. 英國에서의 公人에 대한 名譽毁損
Ⅳ. 獨逸에서의 公人에 대한 名譽毁損
Ⅴ. 日本에서의 公人에 대한 名譽毁損
Ⅵ. 우리나라에서의 公人에 대한 名譽毁損
Ⅶ. ‘現實的 惡意 原則’을 도입하자는 論議에 대하여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A Comparative Study on Defamation against Public Figures : concerning ‘Actual Malice Rule’
언론과법
2002 .12
공인에 대한 명예훼손- 그 민형사상 면책 구조에 관한 판례 이론의 분석
동북아법연구
2015 .01
民事上 公人에 대한 名譽毁損責任의 成立要件 - 相當性과 公人理論을 중심으로 -
재산법연구
2010 .01
‘현실적 악의 규정’에 대한 인식과 판단 : 한국 법원과 외국 법원의 비교 연구
한국언론학보
2005 .02
Examination Standard on Defamation of Public Figures
사회과학연구
2014 .08
'현실적 악의' 법리의 개념적 타당성
사회과학연구
2009 .07
言論報道로 인한 名譽毁損에서의 相當한 理由에 관한 硏究
비교사법
2003 .03
公人에 대한 名譽毁損의 比較法的 一考察 : ‘現實的 惡意 原則(actual malice rule)’을 中心으로
저스티스
2002 .10
현실적 악의 기준의 현재 : 한국과 미국 비교연구
공법학연구
2018 .05
공직자에 대한 명예훼손
법학논집
2014 .01
언론·출판의 자유와 명예보호 사이의 한계
재산법연구
2007 .01
‘공인’이란 누구인가?
언론과법
2020 .08
名譽毁損과 民事責任
법학연구
1992 .09
명예훼손 법리상 대통령은 공인인가 : 공인 이론의 적용범위에 관한 세 가지 판례 비평
저스티스
2017 .10
한국 공인 연구 30년 : 누가, 언제 ‘공인’에 대해 무엇을 연구했는가?
언론과법
2017 .04
言論의 自由와 名譽毀損 : 美國判例上의 Actual Malice Rule을 중심으로
한양법학
1994 .02
공인의 명예훼손에 대한 사법적 논의의 한계
한국언론학보
2001 .03
民法上 名譽毁損 少考
법학연구
1956 .0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