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Shin-Hye Yang (안양대학교)
저널정보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장신논단 장신논단 제42집
발행연도
2011.10
수록면
157 - 179 (23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논문은 한국 기독교인의 종교적 정체성과 민족적 정체성의 관계를 1907년 평양대부흥운동을 통해서 규명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삼는다. 평양대부흥운동이 한국 기독교인의 민족적 정체성의 형성에 끼친 영향에 대해서는 한국교회사 연구에서 의견의 일치에 도달하지 못한 채 지금까지 대립 구도를 이루고 있다. 한편에서는 평양대부흥운동은 비정치적이라고 규정한 반면, 다른 한편에서는 이 운동이 한국 기독교의 민족주의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는 입장을 취한다. 이 대립 구조를 극복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민족주의(nationalism)와 애국주의(patriotism)라는 개념을 구분하여 사용한다. 왜냐하면 민족주의라는 개념은 역사적으로 한국 근대화의 시기에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한국 기독교의 민족적 정체성은 기독교의 윤리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미국 선교사들이 한국기독교인의 민족적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큰 기여를 했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미국 선교사들이 지닌 언약사상에 근거한 국가 선택사상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그 당시의 정치적·역사적 배경에서 그 형성과정을 살펴보았다. 둘째, 미국 선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민족주의가 한국 기독교인의 민족적 정체성 형성에 끼친 영향을 추적하기 위해서 독립협회의 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독립협회를 선택한 이유는 기독교인들 뿐만 아니라 대부흥운동을 이끌었던 길선주목사도 이 협회의 일원으로 활동했었기 때문에 미국 선교사들이 끼친 한국 기독교인의 민족적 정체성의 특징을 살펴보는데 적합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평양대부흥운동을 선두적으로 이끌었던 길선주목사에게 나타난 기독교인으로서의 종교적 정체성과 한국인으로서의 민족적 정체성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특히, 기독교의 보편적인 종교적 윤리와 민족적 정체성의 갈등을 어떻게 설명하고 있는지, 그리고 이 둘의 간격을 그는 어떻게 극복하고자 하였는지 추적하여 설명하였다.
이로써 한국 기독교인들의 민족적 정체성은 문화 제국주의적 관점에서 이루어진 민족주의이며, 구체적인 역사적 상황과 기독교의 보편적 윤리와 갈등을 성경의 올바른 해석에 근거하여 적절한 신학적 해결을 내놓고자 한 노력의 결과였다는 점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정치적 입장에서의 민족주의 이해를 잣대로 평양대부흥운동을 이끌었던 그 당시의 민족 정체성을 판단해서는 안되며 평양대부흥운동 이후의 그들의 노력이 비정치적이라고 단정하는 것을 성급한 판단이라는 결론에 다다른다.

목차

Abstract
I. INTRODUCTION
II. THE FORMATION OF NATIONALISM IN THE AMERICAN MISSIONARY
III. THE FORMATION OF NATIONALITY AND THE INDEPENDENCE CLUB
IV. THE RELIGIOUS IDENTITY AND NATIONALITY IN PYONGYANG GREAT REVIVAL: SEONJU GIL
V. CONCLUSION
Bibliography
한글 초록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3-230-0013057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