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요약문
1. 국가의 제도적인 층면에 있어서『주자가례』의 지위 확립
2.『주자가례』의 ‘존엄한’ 지위와 다양한 평가 속에서의 존속
3. 민속자료로 살펴본 각지에 있어서『주자가례』의 전파와 보급
4.『주자가례』판본 개요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책을 말한다]주희의 『주자가례』
오늘의 동양사상
2000 .09
기호학파의『주자가례』수용양상
국학연구
2010 .06
명말 하남 신안의『주자가례』의 현장
국학연구
2010 .06
조선후기 가례 담론의 등장 배경과 지역적 특색 : 『주자가례』에 대한 주석서를 중심으로
국학연구
2008 .12
오키나와[琉球]의『주자가례』수용과 보급 과정 : 『사본당가례』의 성격
국학연구
2010 .06
『주자가례』 속의 인간과 사회 : 새로운 종법 이해와 재구성의 고례古禮적 맥락에 대한 성찰
국학연구
2010 .06
〈『주자가례』와 동아시아 문화교섭〉국제학술대회 : 동아시아 규범의식의 원형을 해부하다
오늘의 동양사상
2010 .04
베트남의 주자가례 수용과 보급 과정
국학연구
2010 .06
후기 미토학[水戶學]의 상제례
국학연구
2010 .06
『주자가례』와 고례
국학연구
2010 .06
『주자가례』와 조선 중기의 제례문화 : 결속과 배제의 정치학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06 .06
16세기『주자가례』담론의 전개와 특성 : 가례의 문화적 수용 연구를 위한 예비적 고찰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06 .06
조선에 있어서 주자 종법 사상의 계승과 변용 : ‘시제時祭’와 ‘묘제墓祭’를 중심으로
국학연구
2011 .12
아사미 케사이[淺見絅齋]와『주자가례』
국학연구
2010 .06
전통혼례에 나타난 고유성과 외래성 : 퇴계 <혼례홀기>와 주자가례의 비교
국학연구
2015 .04
조선 전기 俗節의 명칭과 인식체계
역사민속학
2013 .11
栗谷 李珥의 《祭儀抄》에 대한 연구 : 제사의절을 중심으로
동아인문학
2017 .12
喪禮 爭點을 통해 본 『國朝喪禮補編』의 志向」 - 「古今喪禮異同議」와 『國朝喪禮補編』의 관련 양상을 중심으로 -
동양철학
2011 .01
조상제례의 규범성과 실제성 : 제례절차를 중심으로
역사민속학
2016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