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머리말
Ⅱ. 問題의 提起
Ⅲ. 那의 實體
Ⅳ. 王畿의 構成
Ⅴ. 地方統治組織
Ⅵ. 맺음말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朝鮮初期 都試研究
한국학논집
1986 .12
百濟 初期의 地方統治體制 硏究 : '5部制'를 中心으로
역사와실학
1999 .01
朝鮮時代 邑號陞降에 관한 硏究 (上) : 地方統治制度 硏究의 一環으로
민족문화
1990 .12
朝鮮時代 邑號陞降에 관한 硏究(下) : 地方統治制度 硏究의 一環으로
민족문화
1992 .12
朝鮮時代 邑號陞降에 관한 硏究 (中) : 地方統治制度 硏究의 一環으로
민족문화
1991 .11
初期道家에 있어서 氣개념의 成立
정신개벽
1993 .06
高麗의 高句麗 繼承意識
고구려발해연구
2004 .12
19세기 地方財政運營의 構造에 관한 一硏究
역사와 세계
1995 .06
韓國 史書에 나타난 高句麗의 正體性
고구려발해연구
2004 .12
漢과 高句麗의 關係
고구려발해연구
2002 .12
高句麗史
성곡논총
1997 .07
朝鮮初期의 繪畵觀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1984 .12
中國學界의 高句麗 對外關係史 硏究現況
한국고대사연구
2003 .09
三陟地方 鳥金簪祭의 構造와 意味
강원민속학
1990 .09
朝鮮初期 文蔭의 運榮과 實際
사학연구
1993 .05
고구려와 북방민족의 관계에 대한 중화인민공화국 학계의 견해
고구려발해연구
2007 .12
朝鮮初期의 禮學
역사교육
1986 .12
朝鮮初期 議政府 研究(上)
한국사연구
1980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