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머리말
2. 광우병 사태에서의 위험소통
3. 광우병 위험의 지(식)와 무지
4. 촛불집회에서 무지의 위험소통
5. 위험소통에서의 책임회피와 정치적 불신
6.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루만의 위험사회론으로 본 2008년 인간광우병(CJD) 파동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09 .06
누가 촛불을 드는가 : 광우병 관련 촛불집회 참여과정의 단계별 분석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08 .12
끝나지 않은 광우병, 그 현재와 미래
의료와사회
2017 .10
위험성 인식의 사회적 증폭요인에 관한 연구 : 언론보도와 사회적 신뢰가 광우병 위험성 판단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009 .09
한국인의 광우병 위험인식과 위험회피행동
농촌사회
2012 .06
광우병 파동을 지켜 보며
가정의벗
2001 .01
조류독감, 메르스 그리고 광우병: 자본주의와 생태계 : 새롭게 발생한 미국의 광우병
의료와사회
2017 .10
‘위로부터의 지구화’와 위험담론의 역사적 구성 : WTO, FTA, 광우병 논쟁
환경사회학연구 ECO
2014 .06
전문성은 광우병 위험 인식의 결정요인이었나?: 전문가와 일반시민의 광우병 인식 차이 비교
농촌사회
2013 .12
위험사회의 전개와 지식 패러독스 : 과학적 무지의 형성과 분화
사회와이론
2016 .11
사회의 지식 : 미지의 생태학과 광우병을 넘어서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08 .06
인간광우병, 그 과학적 진실과 정치적 거짓
뉴 래디컬 리뷰
2008 .06
광우병 그리고 휴대폰 전자파, 위험(리스크)의 일상성에 관하여
프린팅코리아
2008 .01
포스트모더니즘의 관점에서 본 과학 관련 사회적 쟁점에 대한 온라인 토론의 과학교육적 함의: 광우병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0 .01
광우병 논란에서 나타난 위험인식의 합리적 기반과 위험커뮤니케이션 : PUS의 시각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09 .12
광우병 위험과 촛불집회 : 과학적인가 정치적인가?
경제와사회
2011 .03
광우병 위험의 사회적 구성 : 사회기술적 구성물로서의 SRM과 ‘과학 실행 스타일’ 속 MM형
환경사회학연구 ECO
2011 .12
U.S. Safeguards for BSE and U. S. Beef Import Requirements to Korea
법과 정책연구
2012 .01
An Analysis of Media Reports on Key Issues of Mad Cow Disease in South Korea
Crisisonomy
2019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