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구독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돼지독감과 조류독감
아프리카와 에이즈, 에볼라
인간과 질병, 그리고 생태계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끝나지 않은 광우병, 그 현재와 미래
의료와사회
2017 .10
2008년 시위와 광우병, 그리고 2023년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의료와사회
2023 .11
정부신뢰와 정치적 실패: 미국산 쇠고기 수입조건 완화는 왜 광우병 촛불집회를 야기하였는가?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대회자료집
2021 .08
The Media and the Politicization of Risk : Media Coverage of BSE in Korea in 2008
한국환경사회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5 .10
A Pathological Review of Controversy Over U.S. Beef Imports and BSE Risk Perception in Korea
Crisisonomy
2018 .01
An Analysis of Media Reports on Key Issues of Mad Cow Disease in South Korea
Crisisonomy
2019 .01
메르스 70일간의 기록
관훈저널
2015 .09
[Special Report] 신종 코로나 리스크 어디까지…_“메르스는 두달 지나서야 회복”
더스쿠프
2020 .02
[배종찬의 민심 뚫어보기 17] 후쿠시마 오염수, 지지율에 태풍될까 아니면 미풍될까_ “광우병·사드 사태와 달리 중도층 쏠림 현상 없다”
월간중앙
2023 .08
[판례평석] 대법원 2011. 9. 2. 선고 2010도17237판결 [‘PD수첩’ 광우병 보도]
언론과법
2022 .04
메르스 그 이후 : 우리는 얼마나 더 고통스러워야 하나?
의료와사회
2015 .11
조례로 살펴본 지역의 조류독감 방재력 비교 : 강원도와 전라북도를 사례로
한국지역개발학회 학술대회
2018 .11
메르스 발생에 따른 관광분야의 대응과 시사점
한국관광정책
2015 .09
[Econolife] 김국진의 직장인 건강통계학 (17)_독감 1편 : 요즘 독감이 더 독해진 까닭
더스쿠프
2023 .01
정치적으로 읽는 메르스 사태 일지
의료와사회
2015 .09
메르스 격리자, 공공의 적이었나?
이슈&진단
2015 .12
메르스가 한국사회와 보건의료에 던진 문제들
의료와사회
2015 .09
캐나다 SARS와 한국 MERS 비교 연구 : 위험인식과 리스크 계산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19 .12
2015년 한국 메르스 유행 대응의 결정적 시간들
의료와사회
2015 .09
메르스 보도 : ‘빠른 정보’ 보다 ‘정확한 정보’ 원해
미디어이슈
2015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