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들어가며
Ⅱ. 국내 제국주의 연구사 소략
Ⅲ. 포스트 식민주의와 새로운 문제의식
Ⅳ. 제국과 식민지의 연구를 위한 새로운 모색들
Ⅴ. 근대사 해석을 위한 새로운 접근: ‘트랜스내셔널 역가학‘과 ‘다양한 근대성‘의 관점
Ⅵ. 나가며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김규동 초기시의 특성과 그 의미
비평문학
2018 .06
트랜스내셔널 히스토리(Transnational History)의 가능성 : 한국근대사를 중심으로
역사학보
2008 .12
한국 근대성의 정당성 위기
동양철학연구
2009 .01
트랜스내셔널 히스토리의 가능성과 한계
역사교육
2008 .12
South Korea’s Democratization Movement of the 1970s and 80s and Communicative Interaction in Transnational Ecumenical Networks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2014 .08
“트랜스내셔널” 역사: 회고와 전망
韓國史學史學報
2012 .01
Transnational History as a Methodological Nationalism : Comparative Perspectives on Europe and East Asia
서강인문논총
2008 .12
근대성 비판으로서의 "형식" : 김남천의 경우
현대소설연구
2001 .12
[특집/한국근대문학연구 비판] 한국근대문학사론과 근대성의 담론들 - 1930년대 후반 비평사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연구
2001 .04
한국의 근대성 연구와 "근대주의"
사회와 철학
2016 .04
근대성 논의에서 패러다임과 방법론의 혁신 문제 : 식민지근대화론과 내재적 근대화론을 넘어 差異와 異種의 근대성으로
국어국문학
2009 .12
일제강점기 현대시 관련 근대성 담론의 층위와 특성
어문학
2011 .03
세계화의 현실과 ‘트랜스내셔널 역사학’의 의미 : 독일 역사학계 논의를 중심으로
경주사학
2015 .12
근대성 : 아시아의 새로운 자기발견
동서인문학
2013 .12
조향 시문학의 근대성과 탈근대성
우리문학연구
2017 .10
윤동주 시의 탈근대성 연구
한국시학연구
2008 .12
근대성에 관한 역사철학적 탐구 : 서설
철학논총
1999 .12
마음의 자신과의 대화 : 매슈 아널드의 모더니티 인식
외국문학연구
2004 .08
Thinking Modernity Historically: Is "Alternative Modernity" the Answer?
The Asian review of world histories
2013 .01
모더니티의 ‘이면’으로서 라틴 아메리카
외국문학연구
2003 .1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