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머리말: 근대 서간과 글쓰기교육
2. 근대 초기 독본의 서간텍스트 분석
3. 독본 소재 서간과 척독ㆍ서간집의 교육적 기능
4. 맺음말 : 근대지 계몽과 식민지 일상의 규범화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근대적 글쓰기로서의 서간(書簡)양식 연구(2) : 근대 서간텍스트의 역사적 변천과 문학사적 의미
현대소설연구
2009 .12
국어(조선어) 독본 수록 서간(書簡)의 존재양상과 사회적 의미
한국근대문학연구
2010 .10
문인 서간과 출판 상업주의 : 『신동아』의 서간 기획과 『조선문인서간집』을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연구
2013 .04
1920~30년대 근대 척독집 소재 여성 서간에 나타난 젠더 의식과 그 의미
동양고전연구
2014 .01
A Letter to be Sent in May
Korea Journal
1976 .08
清代中朝文士書籍互贈考略 : 以中朝文士尺牘爲中心
한국학논집
2017 .06
근대 척독집 성행의 문화적 의미와 근대 한문학사적 위상- 근대 척독의 이중적 효용과 그 의미를 중심으로
韓國古典硏究
2014 .01
근대 척독집을 통해 본 ‘한문 교양’의 대중화와 그 의미
韓國古典硏究
2015 .01
셰익스피어 극에 나타난 편지 읽기와 쓰기
Shakespeare Review
2006 .09
근대 척독집 간행 현황과 시대별 변화 양상 -1900~1950년대 간행된 척독집을 중심으로-
韓國古典硏究
2011 .01
편방분석법으로 본 楚簡문자의 구조
중국학논총
2010 .01
The Characteristics of the Hunminjeongeum Medial Letters : from the Perspective of Writing System
어학연구
2014 .12
1920~30년대 편지글의 형식과 문체 변화
겨레어문학
2008 .01
문자와 영상 사이
인문언어
2006 .01
近代啓蒙期 ‘國文論’의 樣相과 새로운 主體 形成의 問題에 對하여
어문연구(語文硏究)
2019 .01
初等學校 漢字 읽기 교육의 문제
漢字漢文敎育
2008 .01
내적 형식으로서의 ‘편지’와 한국 근·현대문학의 소설사 기술의 가능성-개화기를 중심으로-
우리문학연구
2020 .07
서간의 형식과 고백의 형식 - 1910년대 고백담론과 관련하여
한국문학논총
2005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