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1. Introduction
2. Linguistic Therapy
3. Accent Reduction Therapy
4. Literature Therapy
5. Philosophy as Therapy
6. Arts Therapy
7. Implementation of Humanities Therapy
8. Evaluation Methods
9. Conclusion
References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인문치료와 내러티브
인간·환경·미래
2017 .04
철학상담을 통해서 본 인문치료
대동철학
2010 .01
비움, 배움, 관계맺음 : 깨달음을 자극하는 인문치료
인문과학연구
2010 .09
인문치료학에서 역사학의 역할 : 역사의 효능과 인식 갈등의 치유 문제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
2010 .09
소통의 모델에 기초한 인문치료의 이론 모형
인문과학연구
2010 .06
[인문 내러티브] 할 수 있는 자가 구하라
자음과모음
2009 .02
학업상담에 있어 인문치료의 역할
인문과학연구
2011 .06
폭력의 문제와 플라톤의 인문치료
인문학연구
2011 .06
인문치료(Humanities Therapy)의 한 모델, 인문학교 : ‘관계와 소통’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
2009 .12
「철학상담을 통해서 본 인문치료」에 관하여
대동철학
2010 .01
인문치료와 불교명상
철학연구
2012 .06
인문치료가 재활환자의 재활의지에 미치는 영향 : 시와 미술활동을 중심으로 한 임상사례
인문과학연구
2011 .06
중도장애인 대상 인문치료 사례 : 우울감 감소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
2014 .06
인문콘텐츠와 인문정책의 방향
인문콘텐츠학회 학술심포지움
2002 .10
'인문 정신'은 무엇으로 사는가
인물과사상
2006 .01
중년여성의 행복감 증진을 위한 인문치료 사례연구
인문과학연구
2012 .06
논리중심치료에 대한 규칙 제공자로서의 청암사상
철학탐구
2012 .05
불교철학과 명상의 인문치료적 활용 방안 모색
불교학보
2016 .12
시의 정신치료적 기능에 대한 철학적 정초
철학연구
2006 .11
인문학, 인문학 실천, 그리고 인문치료
인문과학연구
2010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