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머리말
Ⅱ. 의회 인클로저와 산업혁명
Ⅲ. 생활공간의 재편
Ⅳ. 근대적 생활세계의 출현
Ⅴ. 맺음말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농업혁명, 의회 인클로저와 농촌사회의 변화, 1750-1850
영국 연구
2010 .01
Enclosure 運動
역사교육
1973 .02
존 클레어의 엘레지(Elegy) 연구 : 인클로저와 헬프스톤
영어영문학
2015 .08
존 클레어의 ‘푸른 언어’와 그 한계 : 클레어의 인클로저 저항시 읽기
문학과환경
2013 .12
김규동 초기시의 특성과 그 의미
비평문학
2018 .06
『서정민요』의 녹색 전망
영어영문학
2016 .08
“이 이상한 사연 많은 이야기” : 『당신 뜻대로』와 `봉사`의 도덕경제론
Shakespeare Review
2015 .06
한국 근대성의 정당성 위기
동양철학연구
2009 .01
낭만시의 녹색 읽기: 워즈워스의 「여자 부랑자」를 중심으로
문학과환경
2019 .06
Peasant
Korea Journal
1988 .09
현대 중국농민의 일상세계 : 공간구조와 관시(關係)의 확장
비교문화연구
2010 .01
[특집/한국근대문학연구 비판] 한국근대문학사론과 근대성의 담론들 - 1930년대 후반 비평사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연구
2001 .04
근대성 비판으로서의 "형식" : 김남천의 경우
현대소설연구
2001 .12
일제강점기 현대시 관련 근대성 담론의 층위와 특성
어문학
2011 .03
동학농민전쟁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내재적 접근
역사비평
2015 .02
근대성 논의에서 패러다임과 방법론의 혁신 문제 : 식민지근대화론과 내재적 근대화론을 넘어 差異와 異種의 근대성으로
국어국문학
2009 .12
윤동주 시의 탈근대성 연구
한국시학연구
2008 .12
The Study of Korean Villag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Colonial Modernity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2010 .08
신라하대 농민항쟁의 특징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2000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