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머리말
2-1. 동그라미의 바다
2-2. 동그라미의 파괴와 상승 의지
2-3. 상승 의지의 끝간 데
3. 맺음말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정지용의 시와 타자의 문제
어문학
2002 .12
정지용 번역 연구(1) : 정지용 초기 시 번역의 특징 - 정지용의 타고르(R. Tagore)와 블레이크(W. Blake) 시 번역을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연구
2020 .10
동그라미 그 여자 외 3편
시조시학
2015 .09
정지용 시의 상상력 연구
한국시학연구
1999 .11
정지용 시에 대한 서사공간이론적 고찰
한국시학연구
2012 .12
정지용 시 다시 들여다 보기
비평문학
2001 .07
정지용의 후기 산문시에 나타나는 죽음의 의미 : 정지용의 「盜掘」, 「호랑나븨」, 「禮裝」을 중심으로
어문론집
2012 .03
정지용의 시어 분석
국제언어문학
2003 .12
[대표작] 동그라미
시조시학
2010 .03
소묘된 풍경의 여백과 기운 생동의 미학
어문연구
2006 .01
1930년대 한국시의 연구-정지용의 경우-
어문학
1972 .03
정지용 시 「유선애상」의 소재와 해석
인문논총
2005 .01
『鄭芝溶詩集』에 나타난 비애의식 연구
국제언어문학
2020 .04
정지용의 일본어 시 창작과 조선어 인식
한국시학연구
2017 .05
정지용의 시가에서의 “물” 이미지 연구
국어국문학
2012 .12
정지용의 논문「윌리엄 블레이크의 시에 있어서의 상상력」과 원전비평
동서비교문학저널
2002 .12
정지용 시의 풍경과 감각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05 .03
정지용 후기 시에 나타나는 ‘자연’-이미지의 다층성 연구 : 정신적 미학주의로서의 ‘어둠’과 ‘나비’ 표상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연구
2016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