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서론 : 다매체, 다문화, 다중언어의 긴밀한 관계
2. 다매체의 등장과 스토리텔링
3. 다문화 연구의 현황과 전망
4. 다중언어 연구의 현황과 전망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Language Choice, Language Status, Language Display: The Case of English and Korean in Multilingual Conference Settings
통역과 번역
2002 .01
후기산업사회와 한국문학의 세계화
어문론집
2006 .09
한국 다문화가정 실태 및 교육 과제
민족연구
2011 .01
대중 매체 언어 연구의 목적과 방향
어문학
2014 .06
Perspectives on the Definitions of Mother Tongue Speakers and Bi- or Multilinguals Within the Multilingual Context Focusing on Environmental and Social Factors
언어학 연구
2018 .01
다문화 사회의 한국어 교육 정책 현황과 과제
다문화와 평화
2011 .01
매체와 국어교육
우리말연구
2012 .01
영상시 제작을 통한 '미디어로서의 시' 교육
국어교육연구
2005 .06
2007 개정 문학교과서에 수록된 다문화 관련 현대시 텍스트 분석
어문론집
2013 .06
국어과 수업과 연계한 미디어 교육
국어교육연구
2005 .06
Три языка – и все как родные: Полиязычное обучение в вузах Казахстана
외국학연구
2013 .01
다문화사회와 종교
종교연구
2010 .06
TOWARDS A MULTILINGUAL DATABASE OF KOREAN COLLOCATIONS
언어학
2007 .08
기호/소통/문화로 본 매체언어와 문학어, 문학 능력
문학교육학
2008 .01
A Review of Research on Third Language Acquisition(TLA), Focusing on Multilingualism
신영어영문학
2018 .02
모국어와 문학
비평문학
2006 .12
세계화 시대의 한국문학 : 세계문학과 지역문학의 좌표
국어국문학
2010 .08
다문화가정 자녀의 한국어, 계승어, 영어 학습 상황에서의 계승어 교육의 필요성과 지원 방안
언어학 연구
2017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