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왜 수사학인가?
2. 학습동기 부여 - 수사학 ‘체험’
3. 수사학을 중국어 교과목 교수에 응용 - ‘어법’, ‘번역’, ‘수사’의 조화
4. 레토리컬 방법론 개발 - SMCRE
5. ‘토론’과 ‘담판’의 학습계획표 - 중국수사학 ‘여행’
6. 바람직한 수사학 활용 교육을 향하여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중국 수사학의 의미와 연구 동향에 관한 고찰
수사학
2016 .04
세계 속의 한국 수사학 : 한국수사학회 21세기 국제학술교류의 역사
수사학
2015 .09
동서양 비교수사학의 출발점의 대한 제안
서강인문논총
2009 .12
서양 중세의 수사학 : 수사학의 그리스도교화를 중심으로
수사학
2006 .03
韓國學生作文中的漢語修辭偏誤現象
중국어문학논집
2019 .12
On the Need of Teaching Chinese Characters
Korea Journal
1972 .04
한국고전과 한국학에서의 수사학에 대하여
수사학
2005 .09
试论汉字字形修辞的方式
중국어문논총
2017 .01
괴테의 반수사학의 수사학 - 수사학적 교양과 실천 -
수사학
2020 .04
러시아 수사학 발전의 역사와 언어문화와의 상관성 연구
수사학
2020 .04
對外漢字敎材硏究 : 以《走近漢語·初級讀寫》為例
중국어교육과연구
2015 .12
생태비평에 대한 수사학적 분석 : 수사학의 ‘착상’ 개념을 중심으로
수사학
2005 .09
“中級中國語會話”課敎學方法淺談
중국어교육과연구
2011 .11
修辞学在東方的盛衰変遷 : 兼中日修辞学比较
수사학
2014 .08
한국의 중국어 교육에 대한 반성적 고찰 : ‘실용 중국어’에서 ‘문화 중국어’로
중국어문학논집
2009 .08
초기 수사학 평론에서 흑인 인권운동 수사학 평론으로 변천하는 과정에 관한 연구 - ‘통합과 주류의 수사학’에서 ‘대항과 갈등의 수사학’으로 -
수사학
2019 .12
이태준의 『문장강화』에 대한 수사학적 연구
우리말글
2005 .12
의사소통 중심의 교수법의 학습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 초급중국어 교실수업을 중심으로
중국어문학논집
2008 .10
우리나라의 中國語 敎授法에 나타난 問題點과 解決方案에 관한 硏究
인문학논총
2003 .02
중국영화 제목의 한국어 번역에 대한 수사학적 고찰 : 2010~2017년 영화를 중심으로
수사학
2018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