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요약문
1. 머리말
2. 지역정체성의 형성
3. 예학에서의 지역 인식
4. 예학의 지역적 분화
5. 맺음말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조선시대 예학의 난제들과 학파간 교섭을 통한 예학의 생태계 형성
동방학지
2020 .01
조선 전기 예학사상과 실천적 양상
안동학
2015 .12
예학시대 유학사상의 이해문제
국학연구
2008 .12
퇴계 이황의 예학
안동학
2015 .12
퇴계후학의 예학과 예설의 전개
안동학
2015 .12
寒岡 鄭逑의 禮論과 禮說
태동고전연구
2012 .01
퇴계 사상 연구의 현황과 과제-예학사상
퇴계학논집
2008 .01
16세기 퇴계학파 예학의 심학적 기반과 수범적 예교 - 학봉, 간재를 중심으로 -
동양철학연구
2012 .01
퇴계의 주체적 예학과 안동의 제례문화
안동학
2013 .12
退溪와 茶山의 禮學 比較
동양철학연구
2004 .01
퇴계예학의 현대적 의미와 전승 양상 : 제례문화를 중심으로
안동학
2015 .12
퇴계 예학과 근기실학자의 예학 : 퇴계退溪ㆍ성호星湖ㆍ다산茶山을 중심으로
국학연구
2012 .12
정약용 經世書의 鄕禮 규정과 공동체 운영의 특징- 『경세유표』 및 『목민심서』의 鄕禮 문제를 중심으로 -
동양철학
2014 .01
예학으로 새 질서 찾는 우노 세이이찌
철학과 현실
1995 .03
近畿 退溪學派 禮學觀 연구 : 성호예학의 연원과 이념
철학연구
2004 .05
한주 이진상의 『사례집요』와 예학사상
한국학논집
2015 .09
16세기『주자가례』담론의 전개와 특성 : 가례의 문화적 수용 연구를 위한 예비적 고찰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06 .06
기호예학의 특성과 방향
동양철학연구
2004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