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예교질서의 성격과 원리
2. 여말선초 예교질서의 정립 양상
3. 조선 전기 예학사상의 전개 양상
4. 조선 전기 예학의 성격과 의의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퇴계예학의 현대적 의미와 전승 양상 : 제례문화를 중심으로
안동학
2015 .12
퇴계 이황의 예학
안동학
2015 .12
조선시대 예학의 난제들과 학파간 교섭을 통한 예학의 생태계 형성
동방학지
2020 .01
다산의 방례기획과 『사례가식』의 위상
孔子學
2016 .05
인간적인 삶이 가능한 성숙한 사회를 위한 가치 탐구 : 김경동, 『사회적 가치: 문명론적 성찰과 비전』(푸른사상, 2019)
철학과 현실
2020 .06
퇴계후학의 예학과 예설의 전개
안동학
2015 .12
조선 중기 금강문화권 예학의 전개와 특징
동서철학연구
2022 .12
정약용의 『사례가식四禮家式』을 통해 본 시속時俗ㆍ국제國制 인식
다산학
2021 .01
자장의 신라오대산 개건(開建)에 대한 타당성 검토(Ⅰ) : 민지의 「제일조사전기」(第一祖師傳記)를 중심으로
종교문화연구
2016 .06
한주 이진상의 『사례집요』와 예학사상
한국학논집
2015 .09
사계 김장생의 이기론과 심성론 소고
漢文學報
2017 .01
영화 <남한산성>: 조선의 글과 청의 길
세계와선교
2017 .12
유학의 예와 여성에 대한 새로운 접근 - 17세기 송시열 예학을 중심으로 -
한국철학논집
2019 .01
연변대학 조선언어 연구방향 석사학위론문에 대한 고찰
중국조선어문
2016 .07
함인재(含忍齋) 정국채(鄭國采)의 생애와 우암학(尤庵學) 수용
동방문화와 사상
2020 .01
일제 말 대중 잡지에서 보이는 ‘조선’이라는 공간인식 : 『관광조선』과 『모던일본 조선판』을 중심으로
대한일어일문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집
2017 .04
양상 요소로서의 ‘-더라’와 ‘-더냐’
한국언어학회 학술대회지
2018 .06
한국과 ‘조선’의 국제관계
현대사광장
2015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