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서론 : 공간과 권력, 그리고 문화정치학
2. 자본화된 공간의 위상
3. 공간의 정치학과 공간 이동의 환상
4. 공간에 구현된 문화정치학
5. 결론을 대신해서 : 1960-70년대 공간의 문화정치학이 남긴 과제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공간과 예술, 몸 : 탈신체화와 재신체화
새한영어영문학
2008 .02
사유할 수 없는 미래/도시를 그리는 방법 - 박민규의 <핑퐁>을 중심으로
도시인문학연구
2017 .01
차이의 공간화와 타자의 정치학
새한영어영문학
2004 .03
황순원 단편소설에 나타나는 공간 연구
구보학보
2018 .01
고전소설에 나타난 사찰공간의 실상과 활용양상
우리말글
2003 .12
광장의 권력과 기억 공동체
남도문화연구
2018 .01
제3의 공간으로서의 카페 : 스페이스 마케팅의 관점
주관성 연구
2008 .06
근대의 자연 공간과 인식 공간
철학연구
2010 .12
1960년대 도시 소설의 장소상실과 기획 공간 : 최인훈과 김승옥의 경우
어문논총
2014 .06
Production of Space and Locality
Localities
2012 .11
“空间转向”与叙事空间
중국학논총
2020 .01
Consuming Spaces in the Global Era : Distinctions between Consumer Spaces in Seoul
Korea Journal
2004 .09
인간에게 공간이란 무엇인가?
새한영어영문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2007 .08
인간에게 공간이란 무엇인가?
새한영어영문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2007 .08
헤테로토피아: (탈)근대 공간 이해를 위한 시론
대구사학
2009 .01
〈심청전〉의 空間 問題와 理念의 機能
어문학
2007 .03
Spatial Relativity on The Great Gatsby and About Time
신영어영문학
2016 .02
공간에 관한 존재론적 역설과 전환 — 동아시아 사유를 통한 대안적 공간 접근 —
동양철학연구
2017 .01
비물질적 노동에 의한 공간의 재전유 : M. 하이데거, D. 매시, M. 하트를 중심으로
코기토
2017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