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제도화’ 개념에 관한 의문
Ⅱ. 제도화와 자율성의 이항대립을 넘어서: 이론적 재구성
Ⅲ. 한국 반성폭력운동의 제도화 과정과 ‘갈등적 협력’의 동학
Ⅳ. 반성폭력운동의 대응 양상과 운동의 자율역량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여성폭력추방운동의 역사적 맥락과 제도화 과정의 차이 : 미국과 영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2007 .09
'진보적' 여성운동의 조직적 특성
페미니즘 연구
2006 .10
지역여성운동의 조직과 세력화의 전망 : 경남여성회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2012 .12
한국 여성운동과 차이 문제 : 2000년대 새로운 ‘여성주의운동’을 중심으로
여/성이론
2010 .06
운동사회 성폭력 의제화의 의의와 쟁점 : ‘100인위’ 운동의 수용과 현재적 착종
페미니즘 연구
2009 .04
Movement
International Digital Design Invitation Exhibition
2012 .05
반성폭력운동이 급진적이어야 하는 이유
여/성이론
2012 .06
진보적 여성운동론의 재검토
페미니즘 연구
2002 .12
여성주의 윤리와 한국 여성노동운동 (1987-1999)
아시아여성연구
2003 .12
90년대 여성운동 : 정치참여 어떻게 할 것인가
아시아여성연구
1990 .12
풀뿌리 운동으로서의 미국의 여성건강운동
페미니즘 연구
2013 .10
여성주의 매체와 여성운동
여/성이론
2003 .06
지역여성운동의 조직과 성격 : 경남여성단체연합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2008 .12
Study on the Differentiation of Women's Movement Organization of Korea in the 1980s
Asian Women
2002 .12
1920년대 지역 사회운동과 농민운동 : 진주 지역을 중심으로
현상과인식
2008 .12
마산. 창원 지역 여성운동의 현황과 과제
한국여성학
2007 .12
미국의 평등권수정(Equal Rights Amedment) 운동과 한국의 호주제폐지 운동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여성학
2008 .12
여성운동과 젠더 정치학의 미래 : 신자유주의체제하에서 여성운동의 과제
여/성이론
2008 .12
한국 출산운동의 방향 모색 : 미국 여성건강운동 사례를 중심으로
여성건강
2000 .12
지구화와 지역 여성운동 정치학의 재구성
한국여성학
2006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