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여성운동‘은 어떻게 되었는가?
2. ‘여성운동‘ 20년, 문제의 재구성 : 평동의 끝?
3. ‘여성운동‘과 젠더 정치학의 미래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여성 정체성의 정치학 : 80-90년대 한국의 여성운동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1996 .10
여성주의 매체와 여성운동
여/성이론
2003 .06
지구화와 지역 여성운동 정치학의 재구성
한국여성학
2006 .09
지역여성운동의 조직과 세력화의 전망 : 경남여성회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2012 .12
90년대 여성운동 : 정치참여 어떻게 할 것인가
아시아여성연구
1990 .12
지역여성운동의 조직과 성격 : 경남여성단체연합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2008 .12
한국 여성운동과 차이 문제 : 2000년대 새로운 ‘여성주의운동’을 중심으로
여/성이론
2010 .06
마산. 창원 지역 여성운동의 현황과 과제
한국여성학
2007 .12
풀뿌리 운동으로서의 미국의 여성건강운동
페미니즘 연구
2013 .10
Study on the Differentiation of Women's Movement Organization of Korea in the 1980s
Asian Women
2002 .12
GENDER IDENTITY POLITICS : WOMEN’S MOVEMENT IN KOREA OF 1980S TO 1990S
이화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학센터 학술대회자료집
2000 .10
GENDER IDENTITY POLITICS : WOMEN'S MOVEMENT IN KOREA OF 1980S TO 1990S
이화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학센터 학술대회자료집
2000 .10
영국 1기 여성운동기 여성쟁점(Women's Issues)의 변천 연구
아시아여성연구
2005 .05
'진보적' 여성운동의 조직적 특성
페미니즘 연구
2006 .10
여성정치세력화 운동의 딜레마와 이중전략
젠더와 문화
2017 .12
필리핀 정치와 여성운동
이화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학센터 학술대회자료집
2000 .04
여성운동과 정부, 그리고 여성정책의 동학 : 한국 사례를 중심으로
아시아여성연구
2011 .05
신자유주의 시대의 젠더-거버넌스 : 국가기구의 제도적 선택성과 여성운동
페미니즘 연구
2011 .10
진보적 여성운동론의 재검토
페미니즘 연구
2002 .12
80년대 한국여성운동
젠더와사회
1992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