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서론
2. 〈구텐베르크 은하계〉속의 이야기들
3. 인간과 기술, 감각과 문화
4. 인쇄, 시각화된 커뮤니케이션, 모더니티
5. 전자기술과 글로벌 빌리지: 새로운 은하계의 의미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마샬 맥루한의 미디어론 : 이론과 철학: 〈구텐베르크 은하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1 .05
맥루한의 미디어론과 역사인식의 문제 : 『구텐베르크 은하계』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세미나 및 보고서
2008 .11
Marshall Mcluhan's philosophy of communication in the postmodern age of globalization
언론과 사회
2003 .11
맥루한(Marshall McLuhan)과 포스트만(Neil Postman) : 생태주의 매체철학
한국언론학보
2008 .04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 주체의 존재론 : 맥루한과 비트겐슈타인을 중심으로
한국동북아논총
1998 .10
맥루한의 매체철학에 대한 비판적 소고 : J. 데리다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2003 .10
[詩] 은하
근대서지
2019 .12
맥루한(M. McLuhan)과 벤야민(W. Benjamin) : 탈근대적 커뮤니케이션 양식에 대한 탐구
한국언론학보
2004 .06
오피니언-디지털 시대 인쇄문화 비판에 대한 반론
프린팅코리아
2003 .01
"기술중심적 미디어론에 대한 연구: 맥루한, 옹, 포스트만을 중심으로"
언론과 사회
1999 .08
맥루한의 미디어 : 인쇄, TV, 그리고 인터넷 미디어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6 .05
엔텔레키를 중심으로 해석한 맥루한의 미디어 개념
언론과 사회
2004 .11
Hall/Hofstede vs. McLuhan : Sorting Out Cultural and Technological Forces Shaping South Korean and U.S. Legislator/Celebrity Web Sites
지역과 커뮤니케이션
2010 .02
라스웰과 맥루한을 넘어서 : 효과ㆍ미디어 패러다임에서 상징적 교환 패러다임으로
한국언론학보
1999 .09
의사소통 구조를 넘어 텍스트로, 그리고 의식으로 : 하버마스에서 맥루한으로, 그리고 데리다까지
한국언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06 .06
電子時代에 있어서의 新聞 : 맥루한의 新聞媒體論
관훈저널
1969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