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문화사회학 대(?) 형식사회학
2. 문화사회학 논쟁
3. 테마의 다양화
4. 일본 사회학자의 전공 분야
5. 퍼스펙티브의 변화: 맑스주의와 구조기능주의
6. ‘의미학파’의 대두
7. ‘문화사회학’의 레테르
8. 정보-소비사회의 발전과 문화환원주의
9. 연구 대상으로부터 배우기
10. 리스만과 슈츠
11. ‘전통의 발명’의 일본적 형태
12. 포스트모던과 하이브리드 모던
13. 지구화(globalization) 속의 문화
참고 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문화사회학과 일상생활사회학
문화와 사회
2007 .11
‘문화적 전환’에 관한 단상 : 독일 사회학의 경우를 중심으로
문화와 사회
2013 .11
사회이론, 왜 문화적 전환을 이루어야 하는가?
사회이론
2005 .06
한국문화사회학의 쟁점과 과제 : <한국문화사회학회> 연구를 중심으로
문화와 사회
2016 .04
사회학의 위기에 대처하는 두 가지 방법 : 공공사회학(public sociology)과 “전문적 사회학의 스트롱 프로그램(strong program in professional sociology)”에 대한 체계이론적 비판을 중심으로
사회와이론
2010 .11
공공사회학은 부활해야 하는가? : 한국과 남아프리카 공화국 사회학 전개과정을 중심으로
문화와 사회
2018 .08
2010년의 한국사회학 : 현실적합성 제고를 위한 제언
한국사회학
2010 .10
세계수준의 한국사회학을 향하여 : 과학사회학적 관점에서 본 몇가지 제언
한국사회학
2001 .04
제프리 알렉산더의 문화사회학
문화와 사회
2008 .05
영국 사회학의 사회학 : 탈분과적 접근과 한국 사회학에 대한 교훈
경제와사회
2010 .12
양적 방법은 미국사회학을 어떻게 지배하게 되었나?
사회와이론
2018 .05
한완상과 비판사회학의 형성
한국사회학
2017 .02
분류와 범주의 지식사회학 : 뒤르껭의 사회학적 인식론
한국사회과학연구
1993 .12
공동체의 미래를 디자인하는 사회학
한국사회학
2020 .02
아카데미사회학의 인식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주체적인 사회학을 지향하여
한국사회학
1983 .12
사회학의 문화적 지향을 위하여
한국사회학
2005 .02
‘지금 여기’의 문화와 문화사회학
문화와 사회
2014 .11
이만갑의 사회학
한국사회학
2016 .04
스포츠의 사회학적 연구 : 문화연구(Cultural Studies)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1996 .06
극지의 문화사회학 : 무엇을 할 것인가?
문화와 사회
2016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