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서론
2. 영국 사회학의 취약한 역사적 기반
3. 영국 사회학의 현황과 성과
4. 영국 사회학의 성공 요인
5. 영국 사회학의 교훈
6. 맺음말: 사회학의 독특한 지식체제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문화사회학과 일상생활사회학
문화와 사회
2007 .11
공공사회학은 부활해야 하는가? : 한국과 남아프리카 공화국 사회학 전개과정을 중심으로
문화와 사회
2018 .08
세계수준의 한국사회학을 향하여 : 과학사회학적 관점에서 본 몇가지 제언
한국사회학
2001 .04
사회학의 위기에 대처하는 두 가지 방법 : 공공사회학(public sociology)과 “전문적 사회학의 스트롱 프로그램(strong program in professional sociology)”에 대한 체계이론적 비판을 중심으로
사회와이론
2010 .11
사회학과 나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03 .12
2010년의 한국사회학 : 현실적합성 제고를 위한 제언
한국사회학
2010 .10
공동체의 미래를 디자인하는 사회학
한국사회학
2020 .02
분류와 범주의 지식사회학 : 뒤르껭의 사회학적 인식론
한국사회과학연구
1993 .12
제도권 밖에서 본 한국 사회학 : 그 곳에 사회학은 존재하지 않는다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15 .12
한국사회학 어디로 가야하나
한국사회학
1988 .10
양적 방법은 미국사회학을 어떻게 지배하게 되었나?
사회와이론
2018 .05
한국사회학에서의 여성연구: 통합(integration)과 분리(segregation)의 이중전략
여성학논집
2014 .01
이만갑의 사회학
한국사회학
2016 .04
한완상과 비판사회학의 형성
한국사회학
2017 .02
사회학과의 현황과 사회학교육의 개선
대학교육
1990 .01
김경동과 아카데믹 사회학의 형성
한국사회학
2016 .08
제도 안에서 바라본 한국사회학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15 .12
격변하는 시대에 한국사회학의 역사적 사명을 묻는다 : 한국사회학 50년의 회고
한국사회학
2006 .08
초기 영국 문화 연구 : 고전사회학 기획의 되살림
사회이론
2003 .12
한국문화사회학의 쟁점과 과제 : <한국문화사회학회> 연구를 중심으로
문화와 사회
2016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