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DBpia Top 5%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Ⅰ. 문제제기
Ⅱ. 사회적 자본 개념이 출현한 계기와 세 이론가의 이론적 입지
Ⅲ. 부르디외의 사회적 자본 개념 비판
Ⅳ. 콜만의 사회적 자본 개념 비판
Ⅴ. 퍼트남의 사회적 자본개념 비판
Ⅵ. 결론
참고문헌
ENGLISH ABSTRACTS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비대칭 사회와 합리적 선택이론 : 제임스 콜만의 사회이론
사회와이론
2014 .11
사회적 자본 개념의 미분화 비판 : 퍼트넘의 사회적 자본 개념을 중심으로
정치사상연구
2018 .11
매체 이용자 집단별 사회자본 상관분석 : 미디어 레퍼토리 유형에 따른 사회참여와 인적교류에 관한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2011 .03
사회자본의 개념과 측정방법에 관한 고찰
차세대 인문사회연구
2005 .01
개념의 신자유주의화 - 사회이론에서의 자본개념 확장비판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2008 .01
한국적 사회적 자본에 대한 탐색적 연구
문화와 정치
2019 .06
선형 행위 체계에서 사회구조와 제도 분석 : 콜만-화이트 (Coleman-White) 행위-구조 이론과 제도의 영향 분석에의 응용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00 .12
사회적 자본과 한국의 시민참여 : 관습적 ․ 비관습적 참여와 사회적 자본
한국정당학회보
2013 .07
사회자본이론의 논점과 연구경향
정부학연구
2002 .01
부르디외의 증여 해석 : ‘사심 없음’의 경제적 정화(淨化)와 부정철학의 이중 효과
경제와사회
2012 .06
푸트남의 사회자본론 비판과 비교사회론적 함의 : 신뢰를 중심으로
사회와이론
2004 .05
제임스 콜만의 교육사회학: 학교효과론과 합리적 선택론
사회와이론
2020 .05
외국이론 읽기/쓰기의 탈식민적 전략은 어떻게 가능한가? : 부르디외로부터의 성찰
커뮤니케이션 이론
2010 .12
부르디외의 예술사회학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상징적 재화의 경제’에 함축된 ‘예술의 주술ㆍ종교적 본성’과 ‘경제적 환원론’을 중심으로
사회와이론
2010 .05
부정자본론 : 사회적인 것과 상징적인 것
한국사회학
2017 .08
사회자본의 낭만적 애정에 대한 비판적 견해
한국조직학회보
2004 .12
상징권력과 집단형성 : 피에르 부르디외의 계급 문제 재구성에 관하여
언론과 사회
2013 .05
미디어와 사회 자본 : 새터민의 사회적응을 위한 제언
커뮤니케이션 이론
2008 .06
이론과 현실 사이에서 : 부르디외 이론의 적용과 변용, 혹은 생성
언론과 사회
2011 .11
한국 사회에 문화 자본은 존재하는가?
문화와 사회
2006 .1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