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급 문제에 대한 부르디외의 재조명은 고전적인 관점들을 하나의 차별화된 문제틀로 확장, 결합, 수정하는 그의 연구방식과 그의 사회학이 지니는 주요 특징들을 잘 보여준다. 부르디외의 접근은 관계중심적이고 갈등중심적이며 종합적이다. 그것은 이론과 실천을 융합하면서, 실천적인 성취로서 집단 형성에 내재하는 상징적 차원을 강조한다. 그 접근은 또한 다양한 자본의 배치 형상을 파악하는 데 적합한 통계기법으로 다중대응분석(MCA)을 도입한다. 부르디외는 집합체의 존재론적 지위를 질문함으로써, 그리고 집단형성의 정치학을 규명하기 위한 도구들을 벼려냄으로써 지배의 문제를 다시 정식화한다. 집단형성의 정치학이란 사회-상징적인 연금술이다. 바로 그것에 의해 정신적 구성물은 역사적 실재로 전환된다. 사회적 경계선들을 구획하고 강제하거나 혹은 거기 반대하기 위한 지각 도식의 주입과 전개를 통해서 말이다. 이 논문은 부르디외가 수행한 중요한 개념적 전환, 즉 계급구조에서 사회공간으로, 계급의식에서 하비투스로, 이데올로기에서 상징폭력으로, 지배계급에서 권력 장으로의 전환 뒤에 숨겨진 추동력을 뒤쫓는다. 우리는 그가 제시한 모델의 핵심 주장을 적용, 시험, 제공해 보았던 최근의 연구들을 검토한다. 또 상징구조의 구성적 힘을 강조하는 범주 현실화의 사회학으로 경험적이고 분석적인 이중의 전환을 보여 주는 부르디외의 계급 관련 저술목록을 제공한다.
Pierre Bourdieu’s recasting of the question of class exemplifies the major features of his sociology and the way he extends, melds and mends classical views into a distinctive framework. Bourdieu’s approach is relational, agonistic, and synthetic; it spotlights the symbolic dimension of group formation as practical achievement while fusing theory and research, and it introduces multiple correspondence analysis as a statistical technique suited to grasping constellations of multiple capitals, Bourdieu reformulates the problem of domination by questioning the ontological status of collectives and by forging tools for elucidating the politics of group-making : the sociosymbolic alchemy whereby a mental construct is turned into a historical reality through the inculcation of schemata of perception and their deployment to draw, enforce, or contest social boundaries. The article traces the impetus behind the key conceptual shifts Bourdieu effects, from class structure to social space, from class consciousness to habitus, from ideology to symbolic violence, and from ruling class to field of power. It also pints to recent studies that have tried, tested, and refined the core tenets of his model as well as offers a bibliography of Bourdieu’s publications on class documenting a twofold empirical and analytic shift towards a sociology of the realization of categories that spotlights the constitutive power of symbolic structures.